An Estimation of the Change in Transshipment Traffic in Northeast Asia using the System Dynamics

SD기법에 의한 한.중.일 환적물동량 변화량 추정에 관한 연구

  • 여기태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 정현재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ransshipment traffic has significant meanings because it give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 container handling volumes in seaports, and revitalizes the regional and national development. Korean container port's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however, will slowly decrease due to the direct ships' calling into Chinese ports, which recently has a huge development plan. There are a lot of stress on forecasting the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because the Korean container port development plans are designed based on this container traffic which consists of import and export traffic, and transshipment traffic. The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are assumed to occupy 40% of total container traffic volumes.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forecasting the transshipment traffic, a little studies are suggested using the concepts of the port competitivenes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ort Competitiveness Index and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using the System Dynamics methodology. As a result,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are predicted as: 20 million TEUs in Korea under the 4% annual increasing rates, 90 million TEUs in China under the 6% annual increasing rates, and 2.5 million TEUs in Japan under the 1% annual increasing rates respectively. The suggested results can be used to enhance the container port competitiveness and produce more transshipment traffic volumes.

해운 항만 분야에서의 환적화물은 항만 물동량의 증가와 고부가가치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국가 및 지역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화물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 및 지속적인 항만 개발로 인해 중국으로 직기항하는 대형선박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환적 물동량은 점차 감소할 것 이라는 예측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항만 물동량 예측을 통해 항만 개발 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환적화물이 전체화물의 40%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개발을 추진하기 때문에 환적물동량 예측은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항만 경쟁력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과거 실적치를 통하여해 환적화물을 예측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SD기법을 통해 동태적인 관점에서 항만 경쟁력 지수 및 환적 물동량 변화치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수행 결과 2030년에는 한국의 경우 약 2천만TEU의 환적화물이 처리될 것으로 예측 되었으며, 중국의 경우 약9,000만TEU, 일본의 경우 약 250만TEU의 환적화물이 처리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즉 한국과 중국의 경우 연평균 4%, 6%의 성장세를 보여 환적화물 처리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본은 연평균 1%대의 증가세를 보여 일정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컨테이너 항만의 환적화물 유치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길광수, 최중희, 황진회, 심기섭, 김운수, 박일란, "환적화물의 이동경로 조사분석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2. 김동환, "김대중 대통령의 시스템 사고", 집문당, 2000.
  3. 김동환, "정책 평론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 제2집 제2호, 2001, 5-23.
  4. 김영표,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 : 미래예측에서 정책효과 측정까지", 국토연구원, 제312호, 2007, 117-127.
  5. 김운수, "수도권 수출입 화물의 중국항만 환적 가능성 연구", 해양물류연구, 2009, 52-75.
  6. 김현지, "외국인직접투자가 환적물동량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제16호, 2010, 55-78.
  7. 문태훈, "시스템다이나믹스의 발전과 방법론적 위상",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 제3집 제1호, 2002, 1-16.
  8. 박병인, 성숙경, "컨테이너항만의 환적항 결정요인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4집 제1호, 2008, 41-60.
  9. 박영태, 김영민, "우리나라 환적컨테이너화물 유치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제31집 제1호, 2003, 95-121.
  10. 백인흠, "ISM & AHP를 이용한 환적항만 선정",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3집, 2007, 43-64.
  11. 안우철, 여기태, 양창호, "인천신항의 환적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6집 제1호, 2010, 20-42.
  12. 양창호, 여기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운항 확대에 따른 인천항의 북중국 환적거점항으로서 발전전략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제13집 제1호, 2010, 91-106.
  13. 임일규, 김명재, 안기명, "중국항만과 경쟁력분석을 통한 부산항 환적화물 유치전략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26집 제3호, 2010, 175-197.
  14. 이기웅, 이문규, 방효식, "부산항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항만경쟁력 분석에 관한 실증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3집 제1호, 2011, 97-120.
  15. 이호춘, "부산항․광양항의 환적컨테이너 수송 현황 분석",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48호, 2005, 37-57.
  16. 전찬영, "우리나라 환적물동량 예측에 관한 소고",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72호, 2007, 6-28.
  17. 정봉민, "동북아지역의 환적구조 및 환적수요 변화에 대한 고찰", 월간 해양수산 통권, 제247호, 2005, 40-56.
  18. 조성제, "우리나라 해운항만 운송의 변천과정 및 전략과제", 한국창업정보학회, 제9집 제1호, 2006, 161-183.
  19. 한철환, "북중국 환적화물 추정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44집, 2005, 41-61.
  20. Baird, A. J., "Optimising the Container Transshipment Hub Location in Northern Europe", J ournal of Transportation Geography, Vol. 14, 2006, 195-214.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4.12.004
  21. Kim, J. K., Pak, J. Y., Wang, Y., Park, S. I., Yeo, G. T., "A Study on Forecasting Container Volume of Port using SD and ARIMA",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5, No. 4, 2011, 343-349. https://doi.org/10.5394/KINPR.2011.35.4.343
  22. Lirn, T. C., Thanopoulou, H. A., Beresford, A. K. C., "An Application of AHP on Transshipment Port Selection: A Global Perspective",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Vol. 6, No. 1, 2004, 70-91. https://doi.org/10.1057/palgrave.mel.9100093
  23. Oum, T. H., Park, J. H., "Multinational firms' location preference for regional distribution cent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Vol. 40, 2004, 101-121. https://doi.org/10.1016/S1366-5545(03)00036-X
  24. 국토해양부 항만물동량 예측 공청회, 2010
  25. 국가물류정보센터(http://www.nlic.go.kr/)
  26.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27.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http://spid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