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Activation Plan for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정홍자 (창원대학교 경상대학 국제무역학과) ;
  • 최해범 (창원대학교 경상대학 국제무역학과)
  • Received : 2011.07.30
  • Accepted : 2011.09.2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orts have been confronted with rapid environmental changes. This means that it is imperativ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by resolving the chronic and difficult problems regarding Busan New Port. This paper, hence, suggests how to activate the hinterland of the New Port. The New Port was designed to become a leading logistics port in Northeast Asia and its economic ripple effect was expected to be much greater with the construction of New Port Hinterland. The government should also seek to supply the sufficient land as well as establish port clusters with various port-related industries, which enables the New Port to survive the forthcoming harsh environmental changes and meet the diverse demands. Those measures also enable the New Port to overcome the deterioration of the competitiveness and enjoy the economies of scale. The cluster-based hinterland policy framework is sure to be very efficient but should be complemented with infrastructure policies for the better policy-mix.

우리나라는 항만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맞춰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동북아물류 중심항의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핵심적인 전략으로 부산항 신항이 건설되고 있다. 신항의 건설과 함께 항만부두 및 배후부지가 국내 최대 항만 물류단지로 부상하고 있어 주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역시 막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래서 부산항 신항에 대규모 배후단지를 지정 조성하여,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및 항만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다양한 항만 연관산업과 지원시설 조성을 통해 항만 클러스터(Port Cluster)를 구축하여, 글로벌 선도항만으로서 미래의 급격한 물류 환경변화와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확장 부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에 부산항 신항 건설 및 배후단지 조성현황과 입주업체 운영현황을 분석한 후,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부산항 신항의 배후단지 발전목표와 전략을 모색하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항만배후부지 개발을 통해 다양해진 항만기능으로 물류산업 활동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길광수.박선현,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련 법.제도 비교 연구", "기본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12, 1-195.
  2. 김율성, "부산항 신항 배후 국제물류도시 조성제언", "부산발전연구원" , 2010, 3-8.
  3. 국토해양부, "부산항 신항 항만배후단지 지정 ",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148호, 2011.4.
  4. 국토해양부,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2020)",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402호, 2011.7.
  5. 마문식.유홍성.김병일,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 경제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4호, 2009, 83-106.
  6. 박홍균, "광양.부산항의 항만물류배후단지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1호, 2011, 13-30.
  7. 부산항만공사, "2010년도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 및 수송실적", 2011.5. 1-55.
  8.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신항 웅동 배후단지 1단계 입주업체 선정안내서", 2010.10, 1-59.
  9.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신항 웅동 배후물류단지 수요조사", "부경대학교 항만물류경영연구소" , 2010.9, 1-87.
  10. 유주영, "인천항 배후물류단지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인천발전연구원, 2009.12, 9-22.
  11. 윤병구.곽규석.안기명.김명재, "동북아 물류거점화를 위한 항만배후부지 구축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제29권 제10호, 2005.12, 897-906.
  12. 이성우.고현정.김찬호.김근섭, "국제분업화에 따른 항만배후단지 기업유치 방안 연구", "기본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7.12, 1-299.
  13. 이언경.장지선.길광수,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항만배후단지 유치품목 선정 연구 : 인천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해운물류학회지" , 제25권 제3호, 2009, 639-663.
  14. 정봉민.이종필.김찬호. "동북아 물류중심항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물류 비교우위부문 도출 및 발전방향", "기본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12, 1-245.
  15. 정현재.여기태.김종길, "항만 배후단지 운영에 기여하는 수출입품목 선정에 관한 연구 : 인천항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제34권 제3호, 2010, 229-234.
  16. 조성제 , "동북아 물류허브를 위한 항만배후단지 중심의 국제체계 구축방안", "한국관세학회지" , 제5권 제2호, 2004.8, 151-175.
  17. Arthur D. Little, "광양항 배후단지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전략", "광양항 port sales 제안서" 전남도청, 2003.12, pp3-79.
  18. Lu, C.S., "Market Segmentation Evaluation and International Distribution Cent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2003, 49-60.
  19. Notteboom, T., and Rodrigue, J., "Port Regionalization : Towards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 32, No. 3, 2005, 297-313. https://doi.org/10.1080/03088830500139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