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 Assessment System for Improving Teaching Skill in u-Campus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평가시스템 설계 및 개발

  • Received : 2011.03.29
  • Accepted : 2011.05.12
  • Published : 2011.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with a view to improving teaching skills in the u-Campus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various theories on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teaching evaluation system, extracting several evaluation factors which are to be included in the system. Based on these evaluation factors, this research developed a prototype by reflecting teaching assessment, coaching, self-reflection, portfolio, supervisor selection, user authority in sharing the portfolio and ubiquitous technology. This prototype differs from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s in that it can enlarge the extent of supervisors other than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own selecting and can reduce the burden of assessment task, thus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This teaching evaluation system using portfolio and ubiquitous technology will be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ssessment methods and will be of great help to qualitative progress in higher leve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teaching skill)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설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효율성과 교수평가에 관한 이론을 고찰 분석하여 시스템에 포함되어야 할 효율적인 교수능력향상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소를 바탕으로 u-Campus 환경에서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평가, 코칭, 자기성찰, 포트폴리오, 평가자 선정 및 포트폴리오 공유에 대한 교수자 권한, 유비쿼터스기술 등을 반영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개발하였다. 프로토타입의 개발은 기존의 평가 방법과 달리 교수 자신의 평가에서 시작하여 본인의 의지에 따라 평가자를 확대하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부담을 덜며 교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트폴리오와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교수평가 시스템은 u-Campus 환경에서 진정한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의 대안이 될 것이며 대학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ook, S. Education for Modern Man, New York, Alfred A, Knopt. 1967.
  2.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대학의 최신 교수-학습 방법, 서울: 학지사. 2006.
  3. 김호권, 현대교수이론, 서울: 교육출판사. 1990.
  4. 손충기, 교사의 교수행동 진단 척도 개발과 그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994.
  5. Murry, H. Teaching Behaviors Inventory, Teaching Professor, October, 3-11. 1988.
  6. Lowman, J. Master the Techniques of Teach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84.
  7. Gamson, Z. F. A brief history of the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New Direc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47, 5-12. 1991.
  8. 이해경, 자기장학용 수업행동진단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006.
  9. Jongsma, K, S. Portfolio assessment, The Reading Teacher, 43-3, 264-265. 1989.
  10. Valencia, S. A portfolio approach to classroom reading assessment: The whys, whats, and hows, The Reading Teacher 43-4, 338-340. 1990.
  11. Valencia, S, W. Alternative assessment: Separating the wheat from the chaff, The reading teacher, 44, 60-61. 1990.
  12. Collins, A. Portfolios for science education: Issues in purpose, structure, and authenticity, Science Education 76-4, 451-463. 1992. https://doi.org/10.1002/sce.3730760408
  13. Feuer, M. & Fulton, K. The many faces of performance assessment, Phi Delta Kappan, 74, 478. 1993.
  14. Shackelford, R. L. Student Portfolio: A process/product learning and assessment strategy, The Technology Teacher, 55-8, 31-36. 1996.
  15. Phelps, A. J., LaPorte, M. & Mahood, A. Portfolios assessment in high school chemistry: One teacher's guidelin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4-5, 528-531. 1997. https://doi.org/10.1021/ed074p528
  16. 백순근, 수행평가의 이론적 기초,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평가연구회(편) 학술세미나발표논문집. 1997.
  17. Weiser, M.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Scientific American, 265(3), pp. 94-104, 1991.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0991-94
  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u-러닝 효과성 분석 및 u-러닝 운영모델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19. 박근상.김영훈.강성욱.김창한, 교육정보화 사업의 성공 지수 도출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 221-247. 2007.
  20. 박정환.김형준.조정원, 알기쉬운 유러닝. 서울: 학지사. 2007.
  21. 박정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디지털 포트폴리오 평가 시스템 설계, 한국산학기술학회, 9-1, 211-220.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1.214
  22. 김희규, 교사평가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2, 113-164. 2005.
  23. 이병환, 현행 교원평정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281-305. 2004.
  24. 전제상, 교사평가와 교원성과금, 한국교원교육연구, 18-3, 172-210. 2003.
  25. 박종필, 교사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초등교육연구, 15-2, 161-176. 2002.
  26. 문창배.박정환.전경애.김해영.마지순, 수업행동분석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경험한 교수자의 행동변화가 주는 의미,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75-311. 2010.
  27. 김영천, 질적 연구 방법론 1: Bricoleur, 서울: 문음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