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Recently, the social issues such as low birth rate, an aging population has brought about decreasing labor productivity and productive population. To relie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has planned to set up smart working infrastructure and will raise the number of smart worker to around 30 percent of the total working population by 2015. This study scrutinizes to the meaning of smart working with the concepts of new work pattern and open innovati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hows 56.9% of SMBs thought a need for such system and 60.1% of them answered to adopt it. And the market related to smart working of SMBs will increase to 17.5% every year to the point that by 2014. It will be worth 1.54 trillion won and create up to 38,000 job positions. While prior researches on SMB suggested key drivers and guideline for innovation, this study gives some implications of impact and ripple effect of smart working as an innovation factor based on empirical analysis.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ICT 기술의 발달은 언제 어디서나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는 스마트워킹 여건을 성숙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업무혁신을 위한 스마트워킹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 종사자의 56.9%가 스마트워킹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이용의향에 있어서 60.1%가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냈다. 이에 따른 중소기업 스마트워킹 연관 시장규모를 추정해 보면 연평균 성장율(CAGR)은 17.5% 수준으로, 2010년 0.81조원에서 2014년까지 1.54조원으로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고, 2014년까지 누적 일자리 38만 개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Renovation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워킹을 도입하고 국가 산업적 측면에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중요 실행과제로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