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ys of expressing materials to create visual perception spaces in commercial spaces

상업공간에서 시지각 공간유도를 위한 재료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이곡숙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정선희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 서지은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Received : 2011.02.25
  • Accepted : 2011.04.0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ways of expressing materials to create visual perception spaces in "commercial spac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discovered that expressing materials in commercial spac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various visual perception spaces as well as discriminative spaces, in commercial spaces.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 multilateral study on how you can express materials to create visual perception spaces. Second, by referring to earlier studies, four types of space have been deduced as visual perception spaces. These are: "expansion", "central", "borderline" and "decoration" spaces. Third, by considering the space type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expressing materials, the criteria for the ways of expressing materials to create visual perception spaces in commercial spaces. Finally, looking at these expression methods, images of "expansion" spaces have most commonly been expressed indistinctly by using the materials and patterns. The profound images of "central" spaces were displayed using the materials and their symbolic images have been shown using the materials and colors. In the "borderline" spaces, the areas have been distinctly segmented or expressed in limited spaces by using the materials and colors. Visual designs were displayed in the "decoration" spaces by using materials from other space fields. All these phenomena have demonstrated that various new materials are being used to create various distinctive designs in commercial spa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all act as basic reference materials in devising visual designs needed in creating various visual perception spaces.

Keywords

References

  1. 최정신 외 2 인, 실내 디자인, (주)교문사, 파주, 2009
  2. 강은영, 현대 공간디자인의 비물질화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 국민대 석사논문, 2007
  3. 권주영, 사이보그이미지의 실내공간연출 특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8
  4. 김영주, 연속적 시지각 특성에 의한 공간 색채계획,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5
  5. 박수현, 공간구성 특성에 따른 마감재 표현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10
  6. 성상준, 건축공간구성에 있어서 시각적 연속의 축에 의한 구현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공주영상정보대학 석사논문집, 2002
  7. 임재령, 스티븐홀의 건축에 나타난 빛의 유입에 따른 실내공간 특성, 건국대 석사논문, 2010
  8. 김동영, 공간확장의 관점에서 본 근대이후 서양건축의 비물질적 표현, 대한건축학회 10권 2호, 2008
  9. 김소희, 마감재료의 질감표현을 통한 건축 공간의 긴장도 연구, 대한건축학회 25권 4호, 2009
  10. 서지은, 거실공간에서 공간지각을 유도하기 위한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권 10호, 2006
  11. 서지은, 주거공간 마감재에 대한 오브제개념의 적용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권 4호, 2010
  12. 정선희, 주거공간에 적용가능한 신소재 특성 및 기준에 판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 권 4호, 2010
  13. 최용수, 브랜드 이미지와 재료의 표현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4권 6호, 2005
  14. 김은주, 패러다임 변화에 의한 재료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권 5호, 2003
  15. 양현우, Manhatlan 상업건축의 표피 다양화 경향에 관한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9권 1호, 2007
  16. 엄희란,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서 나타나는 재료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7권 2호, 2005
  17. 이상협,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5권5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