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시험개발 사업 연구비(과제번호:PJ0069232011)를 지원 받아 수행한 연구 내용의 일부를 편집·인용한 것임.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rganic liquid fertilizer during fermentation at plastic house in Chungbuk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Chicken dung, soybean meal, and rice bran were used for nutrient sources. The obtained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nitrogen contained the highest in soybean meal as 55 mg·kg-1, and phosphate and potassium contained high in chicken dung and rice bran in organic liquid fertilizer materials. The pH of chicken dung was near 7.0, that of soybean meal and rice bran indicated acidity(pH 3.8~4.4).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chicken dung consistent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that of soybean meal and rice bran increased and decreased early season and increased at late incubation period. Hydrogen sulfide gas occurrence of chicken dung was 3,200 mg·L-1 at early season and 1,600 mg·L-1 at late incubation period, and that of soybean meal and rice bran treatments were not or very low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gas during manufacturing period. The nitrogen and calcium content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ere the higher in chicken dung and soybean meal than rice bran. The phosphate and magnesium content of rice bran was the high as 5.6 g·kg-1 and 1.5 g·kg-1,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tassium content among the different liquid fertilizers during fermentation.
본 연구는 유기액비 재료가 유기액비 제조시 화학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계분, 대두박, 쌀겨 등 3처리를 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액비 원료의 총 질소 함량은 대두박이 55 mg·k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산과 칼륨 함량은 계분에서 가장 많았다. 계분의 pH는 중성에 가까웠으며, 대두박과 쌀겨는 강산성을 띠었다. 계분 액비의 EC는 발효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대두박과 쌀겨 액비는 발효기간 중 증가하다가 감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계분 액비의 황화수소 발생량은 발효 후 2주차에는 3,200 mg·L-1이었으나, 발효 12주차에는 1,600 mg·L-1으로 감소하였고, 대두박과 쌀겨 액비는 발효 과정중 황화수소 가스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질소와 칼슘 함량은 계분 액비와 대두박 액비에서 가장 많았다.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은 쌀겨 액비에서 각각 5.6 g·kg-1, 1.5 g·kg-1으로 가장 높았다. 칼륨은 처리에 따라 4.3-4.4g·kg-1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시험개발 사업 연구비(과제번호:PJ0069232011)를 지원 받아 수행한 연구 내용의 일부를 편집·인용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