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금채자기의 채색기법 재현실험 연구

Research on Re-creational Experiment and Technique of Gold Powder Painting for Goryeo Gold-painted Porcelain

  • 황현성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이다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Hwang, Hyun-Sung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Lee, Da-Hae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11.09.19
  • 심사 : 2011.11.28
  • 발행 : 2011.12.20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인 고려시대 화금청자 2점과 중국 북송시기 화금도자 3점의 금 잔존여부 및 금채의 채색기법 연구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금채장식을 재현 실험하였다. 도자기 시편 위에 4개의 교착제와 금분을 섞어 금채 후 $100^{\circ}C{\sim}1200^{\circ}C$까지 단계별 번조하여 표면의 교착상태와 발색력을 현미경과 색도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교착제에 따른 시각적 효과와 적정온도를 파악하였고, 그 중 기름과 아교가 가장 뛰어난 교착력과 발색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완형의 현대 재현 고려 상감청자의 유약 표면에 기름과 아교를 각각 금채한 후 적정온도인 $700^{\circ}C{\sim}800^{\circ}C$에서 번조하였으며, 두 교착제가 유약 위에 교착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금채의 단면을 SEM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교착력은 차이가 없었으나, 발색력, 밀도 등은 아교가 다소 떨어지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기름은 실온에서 건조되지 않는 반면, 아교는 건조되는 장점으로 작업성이 좋은 편이었다. 이에 반해, 아교는 작업성 측면에서는 기름에 비해 매우 뛰어난 장점을 보였으나 발색력에서는 기름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을 이번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re-creational experiment of Goryeo gold-painted decoration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gold remaining and gold painting technique on the two pieces of Goryeo gold-painted celadon and the three pieces of Chinese gold-painted porcelain on North Song period which ones have been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since 2007. For the observation of glue state and color developing ability, four kinds of agglutinative agent and gold powder were mixed over the porcelain sherds, then gradually fired from $100^{\circ}C$ to $1200^{\circ}C$. Visual effect and ideal temperature were measured. Among of them, oil and glue showed the best results in glue state and color developing ability. Through those results, the entire Goryeo engraved celadon were reproduced in modern facilities. Oil and glue were gold-painted over the glaze then it was fired at the ideal temperature 700 to $800^{\circ}C$. For observation the binding condition, the gold-painting cross section was looked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s the result, oil and glue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in Agglutinative agent, but gold was good, the color developing ability, however, in the case of oil, the edge of gold is curled because of its interfacial tension, and it is not dried well at room temperature so the working property is not as good as the glue. Glue more effective in terms of work efficiency, but color developing ability to fall slightly in this experiment were able to see through.

키워드

참고문헌

  1. 황현성, "韓 中 畵金磁器의 金彩 技法에 대한 比較 調査 및 加採 實驗". 박물관보존과학, 8, p13-24, (2007).
  2. Francois Xavier d'Entrecolles, "Letters from Jingdezhen to pere d'Orry ". 1712 and 1722.
  3. 黃鉉盛, "韓.中 陶磁의 金彩 技法에 관한 科學的 調査, 中國陶磁". 국립중앙박물관, p440-449, (2007).
  4. 高麗史.
  5. 신성필, "재현실험을 기초한 옻칠 도막의 보존과학적 특성 평가 ".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6. 三杉隆敏, "유약과 그 안료 ". 대강서림,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