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Makeup in the Inspection

망진에서 바라보는 화장문화의 심리학적 접근

  • Kim, Kyoung-Shi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ang, Jung-Soo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Byoung-Soo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김경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강정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김병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Received : 2011.01.06
  • Accepted : 2011.02.08
  • Published : 2011.02.20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culturally the psychological effect of men and women's make-up, to examine men and women's tendency toward make-up and to figure out relationships between their psychological properies and its functions in modern society for the psychological analysis of Inspection(望診). This study has verified that makeu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sychological reation and self-confidence as well as it meets their fundamental aesthetic needs. The makeup of the psychological action on men and women is different as eroticism, feminism and etc.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make-up are the needs of a variety of fashion, trend of public opinion, a cultural difference and etc. And further studies about psychological reason why they wear makeup need to be made. Makeup has an effect on their looks and it has a psychological effect of being able to decorate and move their mind.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for psychological approach to makeup could contribute on the study for positive makeup treatment and basic foundation of Inspection(望診) and physiognomy(觀相) in Oriental medicine.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희, 윤천성. 현대미학의 미적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15(2):483-493, 2009.
  2. 김수진, 한명숙. 1990년대의 패션과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6(1):84‐93, 1998.
  3. 한명숙, 선정희. 웨딩 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한국미용학회지 7(2):73‐85, 2001.
  4. 이난희. 현대사회의 화장의 의미. 2004년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1-25, 2004.
  5. 김광호, 時空合一의 觀點으로 살펴본 顔面 望診에 對한 硏究, 大田大學校, p.23, 1999.
  6. 河北醫學院 校釋, 靈樞經校釋.下, 北京市, 人民衛生出版社, p.70, 1982.
  7. 大坊郁夫, 神山 進 編集. 被服と化粧の社會心理學. 京都, 北大路書房, pp30-40, 1996.
  8. 정복희. 화장과 인간 에로티시즘.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2):104‐110, 2008.
  9. 매트 리들리, 김윤택 역. THE RED QUEEN. 서울, 김영사. p204, 2006.
  10. 데이비드 버스 지음, 전중환 옮김. 욕망의 진화. 서울, 사이언스북스, p20, 2007.
  11. 나르시스의 꿈. 김상봉. 서울, 한길사. pp88-89, 2002.
  12. 김주원. 여성 신체와 미의 남용 ‐포스트페 미니즘과 나르시시즘 미학. 미학 55:81‐118, 2008.
  13. 제레미 홈즈. 나르시스즘. 서울, 이제이북스, p7, 2004.
  14. Abraham, Karl. selected papers of Karl Abraham. London, Hogarth Press, 1973.
  15. Bartky, Sandra Lee, "Suffering to be Beautiful", Gender Struggles; Paractical approaches to Contemporary Feminism, constance L. Mui & Murph(ed.), New York, N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S., 2002.
  16. who's afraid of feminism, Women in action, p40, 1995(3).
  17. Anna Yeatman. Postmodern Revisionings of the Political. New York, Routledge, p49, 1994.
  18. 김용숙. 성인여성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신체 및 화장이미지. 복식 59(3):55‐56, 2009.
  19. 임정빈, 정혜정. 성역할과 여성. 서울, 학지사, pp127‐149, 1997.
  20. 구자명, 이구영.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화장 행동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학회지 6(2):124‐136, 2002. /p134
  21. 김주애, 이연희. 남성 화장 특성. 한국패션 뷰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pp.41‐42, 2004.
  22. 박보영. 남성 색조화장의 역사적 고찰. 인체예술학회지 3(1):39‐48. 2002.
  23. Aubrey, J. S. The Media's impacton selfobjectification, body emotions, and sexual dysfunction: a test of objectification theor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2004.
  24. 크레이크(Craik), 정인희.함연자.정수진.김경원 옮김. 패션의 얼굴. 서울, 푸른솔, 2002.
  25. 캐쉬, 푸루진스키(Cash, Fruzinsky), 임숙자 외 옮김. 바디이미지. 서울, 교문사, 2000.
  26. 포슈(Posch), 조원규 옮김. 몸 숭배와 광기, 서울, 여성신문사, 2001.
  27. 박옥련, 이현지. 1990년대 이후 국내 남성복의 여성화 경향. 한국의류학회지 28(2):364‐375, 2004.
  28. 데이비드 버스 지음, 전중환 옮김. 욕망의 진화. 서울, 사이언스북스, p117, 2007.
  29.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 편집위원회 편저. 한방피부미용학개론. 서울, 대한한방피부미 용학회, p16‐17, 2007.
  30. 조성역 역. 완역 망의상법. 서울, 명문당, pp260-261, 1996.
  31. 진담야. 상리형진. 서울, 황금시대, pp452-453, 1998.
  32. 윤창렬, 이남구, 김선호 해석. 현토완역 황제내경소문 왕빙주. 대전, 주민출판사, pp222-224, 2003.
  33. 김명리, 김주덕. 화장행위가 갖는 심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지 31(1)49:127-13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