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f Industrial Application through Digitalization of the Jewelry of Imperial Princess YEONG

영친왕비(英親王妃) 수식(首飾) 장신구(裝身具)의 디지털화를 통한 산업적 활용 연구

  • 정아영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금속/주얼리디자인랩)
  • Received : 2011.02.15
  • Accepted : 2011.04.15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Historically, Korea has made and weaved beautiful jewelry based on delicate metal craft technique. Especially jewelries in Chosun dynasty among these jewelry shows practicality, fanciness and social symbolism at the same time,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cultural origins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Since jewelry of imperial princess YEONG, an object of a study herein, was made for a court ceremony although it is an artifact of the end of Chosun dynasty after the time of enlightenment, it is expected be made based on traditional shape and standard in accordance with strictly respected court dress code in Chosun dynasty. It is also an important data of research for a court style and system as well as its artistry in its diversity of type, preservation condition similar to original form and its producers who are master craftsman parted in Sang-Uiwon (an institute in charge of dress and accessaries of court) at the end of dynasty. Thus, a study herein aims to research formatively valuable 11 selected jewelries among jewelries of imperial princess YEONG used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search for industrial application method with digitalization of the shape and design and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culture. Moreover, in accordance with proposing design data through review of traditional women jewelry, it aims to suggest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to modern jewelry design and cultural industry.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정교한 금속공예기술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여성 장신구를 제작, 착용해왔다. 이러한 장신구 중 특히 조선시대의 장신구는 실용성과 장식성 그리고 사회적 상징성 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표적 문화원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된 영친왕비 장신구는 개화기 이후, 조선 말기의 유물이지만 궁중의식용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조선시대에 엄격히 지켜진 궁중복식 정례(定例)에 따라 전통적 형태나 기준에 맞추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종류의 다양성과 원형에 가까운 보존상태, 국말 상의원 소속 장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점 등에 있어서도 예술성 뿐 아니라 궁중 양식과 그 체제 등에 대한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영친왕비가 사용한 장신구 가운데 조형적 가치가 있는 수식 11점을 선정하여 연구하고, 그 형태와 문양을 디지털 콘텐츠화하여 전통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사회적 활용방안을 추구하고자 한다. 또한 전통여성장신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양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문화산업과 현대장신구 디자인 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 일가 복식, 국립고궁박물관, 2010.
  2. 임영주,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2007.
  3. 국립민속박물관, 자수문양, 대원사, 2004.
  4. 김영숙, 조선조후기 궁중복식, 도서출판 신유, 2002.
  5. 임영주, 한국문양사, 미진사, 1983.
  6. 남완주,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9.
  7. 오선희, 조선시대 여자비녀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8. 김봉희,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의 현대적 변용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논문, 2007.
  9.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BOOK, 2004.
  10. 추원교, 한국여성 장신구의 형성과정과 조형성 연구:부족국가시대에서 조선조까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11. 정영숙, 조선시대 부인용 머리장신구 문양에 관한 고찰,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