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tivation of the Korean Craft Industry

공예산업의 활성화 -중부권 공예산업 중심으로-

  • 김성민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1.01.17
  • Accepted : 2011.03.15
  • Published : 2011.04.28

Abstract

Craft industry in Iran in the past to preserve the technology and production methods, or a newly developed in modern technology, techniques, and material that are intended to use in the decorative,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general public are using living water district, ornaments, symbols, products, and so on are collectively, craft industry-specific regional environmental, air velocity, ruins, etc.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traditional or artistic nature to produce products with the industry, the craft inherent in cultural element out of the help of stock,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 series of process, namely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craft. This future-oriented State images for a unique sentiment based on the tradition of craft culture prize of Korea national image to create a decisive role in the would do. Therefore, in this study, consumers of the craft cultural products awareness and marketability to domestic craft industry status and enhance the use of the show. In addition, based on craft culture industry's efficiency and the issue is what the research and improvement.

공예산업이란 과거에서 전승된 기술과 생산방법, 또는 현대에 새롭게 개발된 기술, 기법, 재료 등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장식적, 실용적 특성을 지니며 일반 대중들이 사용하는 생활용구, 장식품, 기호품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공예산업은 특정한 지역의 환경, 풍속, 유적 등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지역의 전통적 또는 예술적 특성을 가진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공예품에 내재하는 문화적 요소를 밖으로 끌어내어 가공, 생산, 유통 및 소비하는 일련의 과정, 즉 공예품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이에 미래지향적인 국가이미지를 위한 한국 고유의 정서와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공예문화상품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창출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공예문화상품에 대한 인식과 시장성을 조사하여 국내의 공예산업의 현황과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공예문화산업의 효율성과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경성, 공예개론, 수학사, 1988.
  2. Edward Lucie-Smith, 공예론, 도서출판 창미, 1983.
  3.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2002 문화관광상품 개발전략 세미나 종합보고서, 2002.
  4.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국내 공예문화산업 분류체계 구축 및 공예지원사업 평가모델 개발, 2003.
  5.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우수 문화관광상품 인증 및 공예산업 클러스터 조성방안, 2003.
  6. 한국관광공사, 2004 문화관광상품 마케팅전략 세미나 결과보고서, 2004.
  7.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우수 공예문화관광상품 SHOP 인증제도 시행방안 구축 및 국내 공예 문화관광상품 실태조사, 2004.
  8. (재)한국공예문화진흥원, 2007공예산업실태조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