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Kasaya Remains of Great Monk Seo San and Great Monk Byeok Am, from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조선 중기 서산대사와 벽암대사의 가사 유물에 대한 연구

  • Kang, Sun-J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Songgwang-sa Museum) ;
  •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0.10.25
  • Accepted : 2010.12.2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consider the real remains of 2 suits of Kasaya owned by the Hwaeom Temple(華嚴寺) based on research results about Kasaya in the meanwhile. The present research on 2 suits of remains which are Royal gifts given to monk soldiers in case of a national crisis of the Joseon Dynasty has a big meaning in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asaya and grasping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17th century's Kasaya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dense survey and analysis according to components. I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asaya, the Kasaya of the Great Monk Seo San(西山) is composed on the basis of an initial form of Sun and Moon Light Patch's generation and the Kasaya of the Great Monk Byeok Am(碧巖) has a form that is separately attached through production of embroidery patch as a process of being settled down. If examining what surrounds gold thread in the girth and expression of Sumeru and Chaeunmun(彩雲紋), the composition of a form similar to an insignia badge, so because this is a Royal gift, this can be estimated as being analyzed in a Buddhism aspect by devising a design from the insignia badge at the time, with a meaning like an official uniform given to a monk. Although the insignia badge is a square, it seems that the Sun and Moon Light Patch is made as a rectangular form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Kasaya.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what the Samjoko(三足烏) idea which is a symbol of the Sun based on Buddhism and Taoism is used together with Yijoko(二足烏) even in expression of the Sun and Moon Light Patch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a Confucian country has a relationship with what a bird was expressed in the insignia badge of winged animal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시

References

  1. 이지관 (2009). 가산불교대사림.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p. 193.
  2. 김경숙, 안명숙 공저 (2005). 한국의 가사. 서울: 대원사, pp. 7-8.
  3. 김장향 (1997). 가사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5-26.
  4. 전관응 (1994). 불교학대사전. 서울: 홍법원, p. 1734.
  5. 강형광 (2010). 조선중기 불교계와 의승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6. 김경숙, 안명숙 공저. (2005). 한국의 가사. 서울: 대원사, p. 19.
  7. 임영자 (1990). 한국 종교복식. 서울: 아세아문화사, p. 107.
  8. 이지관역 (2003). 역대고승비문 조선편 1. 서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p. 256.
  9.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한국의 불화 권40 보물편.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 170.
  10. 조명제, 김탁, 정용범, 원경(이상섭) 역주 (2007).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인물부. 서울: 혜안, p . 254.
  11. 신대현 (2009). 화엄사. 대한불교진흥원, p. 139.
  12. 綺山錫珍編, 曹溪山松廣寺史庫人物部(筆寫本)-碧巖大師行狀, 1929. (韓國學文献硏究所, 曹溪山松廣寺史庫, 1977, 亞細亞文化社 영인. pp.551-552)
  13. 조명제, 김탁, 정용범, 원경(이상섭) 역주. (2007). 역주 조계산송광사사고 인물부. 서울: 혜안, pp. 257-259.
  14.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한국의 불화 권40 보물편.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 178.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조선시대 피륙의 무늬.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206.
  16. 국립문화재연구소미술공예실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직물. 서울: 눌와, p. 397.
  17.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서울: 고대직물 연구소 출판부, pp. 266-267.
  18.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서울: 고대직물 연구소 출판부, p. 258.
  19.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2). 조선시대 피륙의 무늬.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88.
  20.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6). 지심귀명례.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81.
  21. 국립문화재연구소미술공예실.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직물. 서울: 눌와, pp. 226-227.
  22.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서울: 고대직물 연구소 출판부, pp. 236-237.
  23. 권상로 (1994). 한국사찰사전 上. 서울: 이화문화출판사, p. 441.
  24. 국립문화재연구소미술공예실.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직물. 서울: 눌와, pp. 258-259.
  25.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한국의 불화 권39 국․공립박물관편. 경남: 성보문화재연구원, p. 26.
  26.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6). 지심귀명례.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187.
  27.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6). 지심귀명례.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185.
  28. 수덕사 근역성보관. (2006). 지심귀명례. 충남: 수덕사 근역성보관, p. 78.
  29. 고려대학교 박물관 (1990). 복식류 명품도록.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p. 130.
  30.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서울: 고대직물 연구소 출판부, p. 381.
  31. 박성실, 심연옥, 이은주 (2003). 중요민속자료 조사보고서-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문화재청, pp 1-50.
  32. 박성실, 심연옥, 이은주 (2003). 중요민속자료 조사보고서-선암사 소장 가사․탁의. 문화재청, p. 31.
  33. 석주선 (1979). 흉배.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64.
  34. 석주선 (1979). 흉배.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