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Textiles Design of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i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of Internet Shopping Malls-

한국과 일본의 쪽 염색 제품의 텍스타일 디자인 비교 -인터넷 쇼핑몰의 쪽 염색 제품을 중심으로-

  • Lee, Mi-Su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ung,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미숙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정경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0.12.28
  • Accepted : 2011.02.23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textiles design of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a total of 556 Korean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and 2,730 Japanese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6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and 2,730 Japanese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selling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which were found using search engine keywords of natural indigo dyeing and natural dyeing. Research and analysis was treated regarding the products, items, patterns, and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the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pattern used for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71.4% of Korean products have no pattern, but 77.1% of Japanese products have patterns. On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the patterns, Korean products used tie-dyeing and a dip patterned fabric. While in the Japanese products, the most frequent patterning techniques were paraffin dye, followed by tie-dyeing, yarn-dyed and weaving, screen printing, and yarn-dyed and knitting. Regarding the kinds of patterns for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only 8 kinds of patterns were used in Korean products; however, over 50 kinds of various patterns were used in Japanese products. Most patterns in the Korean products were ion patterns made by tie-dyeing. While in the Japanese products, the most frequent patterns were stripe patterns, followed by flower, dot, and ion patter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the textile design of Korean natural indigo dyed products were that most of the products have no pattern, and even though there were patterns, they lacked variations between the products. While in the case of Japan, they used the traditional and modem patterns of various textile representation technique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디고/인디루빈 생산 작물 산업화 연구사업단

References

  1. 권오정. (1999). 텍스타일 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서울: 미진사.
  2. 김지희. (1993). 한국 전통 직물 염색-고문헌 및 기능보유자의 구전을 중심으로-. 대구: 영남전통식물 염색보존회.
  3. 김춘희. (1996). 일본 시보리(문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나주시. (2003). 천연염색 문화관 건립사업 타당성 분석 및 기본 계획 연구. 나주: 나주시.
  5.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출판부. (2008). 천연염색 이론과 실무. 나주: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출판부.
  6. 노의경, 유명님. (2006). 델파이법을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기초 연구 (제3보). 한국의류학회지, 30(5), 733-741.
  7. 다나카, 히데호. (2008). 텍스타일 표현과 기법. 봉경선, 고소미 옮김 (2008). 서울: 미진사.
  8. 박지희, 소황옥. (2004). 한, 중, 일 남염(藍染)의 비교 연구. 한복문화, 7(1), 29-40.
  9. 서미아. (1985). 의복의 무늬 기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3), 207-226.
  10. 송안나. (2006).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 직물에 표현된 봉황 문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은옥. (2007).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의 분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3(3), 271-280.
  12. 이일심, 이수철. (1997). 일본 남염 직물에 나타난 전통 문양의 미적 특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 57-71.
  13.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염색. 서울: 현암사.
  14. 이행화. (1999). 일본 고소데(小袖)에 나타난 문양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혜영. (2007). 전통 염색 힐 기법에 관한 연구: 교힐, 협힐, 납힐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인디고/인디루빈바이오기술연구사업단. (2010). 전통 문화와 바이오기술의 가교(架橋), 인디고(Indigo)산업. i-webzine, 39, 2-4.
  17. 장수경. (1994). 한국 전통 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 2(2), 283-295.
  18. 전남테크노파크전략산업기획단. (2008). 전라남도천연염색산업 기술지도; TRM. 순천: 전남테크노파크전략산업기획단.
  19. 정인모. (1997). 쪽풀 색소를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정재만. (2008). 소비자의 천연염색 선호도와 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조영아. (2007). 천연염색 의류제품의 구매실태 조사 연구 (제1보)-보유현황과 착용 이미지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1(4), 1-17.
  22. 천연염색의 문화산업화 위한 클러스터 구축 필요. (2009, 9. 1). 바른지역언론연대. 자료검색일 2010, 7. 25, 자료출처 http://www.bjynews.com
  23. 최승연, 이미숙, 신윤숙. (2006). 전통 문화상품에 나타난 문양 분석: 서울지역과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 101-113.
  24. 한국패션센터. (2009). Slow Fashion Trend: 친환경자연염색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대구: 한국패션센터.
  25. 한기창. (2009). 브랜드 이미지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감성적 동화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4), 520-533.
  26. 谷信一. (1947). 圖說日本服裝史. 東京: 銀書院.
  27. 元井能. (1986). 日本被服文化史. 東京: 光生館.
  28. 佐藤泰子. (1989). 小袖染織におけるの解釋について. 東京:文化女子大學 硏究紀要.
  29. 坂川哲雄, 越田 均, 中山降辛. (1991). 感性の染色への提言(4)-藍 染めと草木調染 めについて-. 染色工業, 39(4), 210-220.
  30. Balfour-Paul, J. (1997). Indigo in the Arab world. London: Curz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