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lothing Behavior

주부들의 허영심 및 결혼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 Chung, Mi-Sil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Campus))
  • 정미실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12.24
  • Accepted : 2011.02.15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an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four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8 housewives in Suwon and Seoul,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ree factors of vanity were identified (concern for physical appearance, concern for achievement, and positive view of physical appearance/achievement).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2) Three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relationship with husband, satisfactory life, and unsatisfactory life). Based on these three factor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aspects of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vanity clusters. 4)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 appeal of clothing according to the marital satisfaction clusters. In conclusion, vanity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influence fashion, exhibitionism, body improvement, and sex appeal of clothing behavior. The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exhibitionism and body improvement for clothing behavior.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국대학교

References

  1. 강옥례. (2003). 맞벌이 부부의 가족 내구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포항시 지역 맞벌이 남여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경희, 정성지. (2000). 중고등학생들의 의복동조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3), 401-411.
  3. 김남숙. (20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가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미정. (2001). 부부들이 지각하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희창. (1998). 청소년기 여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또래집단 수용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남미우. (2010). 대학생의 허영심 유형에 따른 가격태도와 소매점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32), 23-38. https://doi.org/10.6115/khea.2010.48.2.023
  7. 박성연, 이종미, 임숙자. (2001).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물질주의 가치관과 의생활 식생활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9(8), 1-18.
  8. 박아청, 이경혜. (1998). 중년 기혼여성의 역할적응과 자아정체감 형성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16(1), 183-198.
  9. 서정희. (2004). 여자 대학생 소비자의 허영성향에 관한 연구-부산, 울산 및 김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7(3), 125-140.
  10. 서정희. (2008). 여자 대학생의 허영유형에 따른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81-93. https://doi.org/10.5934/KJHE.2008.17.1.081
  11. 성미혜, 윤자원, 손혜영. (2005). 중년여성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상태. 정신간호학회지, 14(2), 186-194.
  12.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13. 심정희, 연명흠. (2007).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제품의 이미지 선호도-35-3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69(20), 143-154.
  14. 안귀덕. (1992). 한국의 청소년문화.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 안현정. (2003).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미숙. (2000).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이부희, 고애란, 김양진. (1996). 남녀 중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4(5), 131-144.
  18. 이선정. (2000). 기혼여성의 배우자 선택 요인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승희. (2000).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과시소비성향 및 의류쇼핑동기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6), 842-852.
  20. 이옥희. (2005). 일본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추구혜택과의 관계 연구. 복식문화연구, 13(6), 857-870.
  21. 이은섭. (2002).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은영. (1999).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23. 이은영. (2009).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성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전경란. (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 및 의복태도의 관련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전경란, 이명희. (2002). 여성의 욕구, 자아존중감과 성형태도에 관한 연구. 복식, 52(6), 71-83.
  26. 전경란, 이은희. (2005). 청소년의 욕구가 성형 및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119-132.
  27. 전경숙, 박혜정. (2006). Vanity Scale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6), 939-947.
  28. 정삼호, 강혜원. (1991). 성인여성의 체형과 연령에 따른 의복디자인 선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297-307.
  29. 정용희, 김창현. (2000). 남자 대학생의 신체의식과 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3), 460-476.
  30.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17.
  31. 조선명. (199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32.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33. 조성희, 박소영. (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9), 149-174.
  34. 조혜선. (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 요인-경제적 자원, 성역할,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회지, 37(1), 91-115.
  35. 천문선, 이수경, 고애란. (2006). 문화성향이 의복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7(2), 277-300.
  36. 한성지, 김문숙. (2002). 50, 6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동기와 정보원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2), 116-131.
  37. 한성지, 양리나, 김문숙. (2002). 50, 6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의복평가기준과 구매장소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0(5), 504-517.
  38. 황진숙, 김윤희. (2006). 외모관리행동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심리적 안녕감. 복식, 56(3), 143-155.
  39. Behling, D. U. (1992). Three and half decades of fashion adoption research: What have we learned?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34-41.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6
  40. Burr, W. R. (1973). Theory construction and sociology of the family.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Netemeyer, R. G., Burton, S., & Lichtenstein, D. R. (1995). Traits aspects of vanity: Measurement and relevance to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 612-626. https://doi.org/10.1086/209422
  42. Kaiser, S. B. (1996).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2nd ed.). New York: Fairchild Books & Visuals.

Cited by

  1.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make-up attitude, body-related value, and clothing behavior vol.22, pp.4, 2013, https://doi.org/10.5934/kjhe.2013.22.4.677
  2. Difference Age and Price Attitude toward Apparel Product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Vanity Typology vol.17, pp.2,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2.203
  3. Statistical Errors in a Research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2, pp.4,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4.485
  4. The Effects of Fashion Involvement on Self-Satisfaction by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Groups vol.36, pp.11, 2012, https://doi.org/10.5850/JKSCT.2012.36.11.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