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를 이용한 각막난시 측정값에 따른 비구면 RGP 렌즈의 각막에서 동적움직임 비교

A Comparison of the Movement of Aspheric RGP Lens on Cornea by the Amounts of Keratometric Astigmatisms using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 박상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이세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Park, Sang-Il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Se Eun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im, So Ra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Park, Mijung (Departmen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투고 : 2011.01.29
  • 심사 : 2011.06.18
  • 발행 : 2011.06.30

초록

목적: 각막곡률계(keratometer) 측정값과 각막지형도(corneal topography) 검사에 의해 분류된 난시량에 따른 비구면 RGP 렌즈의 동적 움직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난시를 가지고 있는 20~30대 남녀의 36안을 대상으로 각막곡률계를 이용하여 각막의 곡률을 측정하고 난시량에 따라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한 후 회전량, 순목에 의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량을 기준으로 하여 피팅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비구면 RGP렌즈 동적움직임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막곡률계로 측정하여 얻은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얻은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더 크게 나타난 경우는 61.1%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는 36.1%로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언제나 전체 각막 난시량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각막 난시량과 중심부 각막 난시량의 차이값이 0.25D 이상인 경우가 19안으로 52.8%에 해당하는 피검안 경우는 비구면 RGP 렌즈 처방이 틀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막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각막 난시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수평방향의 이동이 각막의 난시 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각막지형도에 의해 전체 각막 난시량으로 분류하였을 때는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양,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거리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각막곡률계에 의해 측정된 중심부 각막 난시량이 각막지형도 검사에 의해 측정된 전체 각막 난시량에 비해 클 경우가 그 반대의 경우에 비해 렌즈의 회전량이 더 많았다. 또한, 각막의 곡률 반경이 다르더라도 각막 난시량에 의해 동일한 베이스커브를 가진 렌즈로 처방이 내려지는 동일처방의 경우에는 각막 난시량이 증가하면 비구면 RGP 렌즈의 회전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각막곡률계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하여 직난시안에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하였을 때 각막에서의 동적움직임이 완전히 상이하지는 않았으며 특정 움직임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막곡률계를 이용한 피팅의 성공률을 더 높이기 위해서 혹은 각막지형도 검사를 이용한 피팅의 적절한 적용을 위해서 피팅 방법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y difference in the movement of aspheric RGP lens by the amounts of keratometiric astigmatisms using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Methods: Corneal curvatures in thirty six eyes of males and females of with-the-rule keratometric astigmatisms in their twenties were measured by a keratometer and worn aspheric RGP lenses. Then, lens rotations,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of lens by blinking were measured to compare with lens movements when aspheric RGP lenses were fitted by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s using corneal topography. Results: The case having higher amount of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61.1% of subjects, however, 36.1% of subjects showed higher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indicating that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was not alway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Since over 0.25 diopter difference between total and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s was shown in 19 eyes (52.8% of subjects), the prescription for lens fitting could be chang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orizontal movement was detected with increase of astigmatism when it compared based on th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a keratomet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s rotation,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amount of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using a corneal topography. When central keratometric astigmatism measured by keratometer was bigger than total keratometric astigmatism estimated by corneal topography, bigger lens rotation was shown compared with opposite case. Also, the tendency of bigger lens rotation was measured with the increase of keratomatric astigmatism in the case of same prescription having same base curves with same amount of keratometric astigmatism but different curvatures.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we concluded that lens movements on cornea were not totally different when aspheric RGP lens fitted on with-the-rule astigmatism by keratometer and corneal topography. However,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certain lens movement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riptions for lens fitting should be conducted for improving the rate of successful lens fitting by keratometer or for the proper application of corneal topography for lens fit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Bennett E. S., and Henry V. A., "Clinical manual of contact lenses", 1st Ed., J.B. Lippincott Co., Philadelphia, USA, pp.27-75(1994).
  2. William E. M., and Thomas J. C.,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contact lens machinability", Contact Lens Spectrum, 12(11):36-40(1998).
  3. 주석희, 박혜정, 신철근, 심현석, "근시성 난시안에서 구면 RGP 콘택트렌즈의 난시교정 효과", 한국안광학회지, 8(2):85-89(2003).
  4. 김수현, 김현정, 김재민, "구면 및 비구면 RGP 콘택트렌즈가 시력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지, 14(1):31-38(2009).
  5. Davis R., Keech P., Dubow B., and Ames K., "Making RGP fitting efficient and successful", Contact Lens Spectrum, 15(10):40-47(2000).
  6. Carney L. G., Mainstone J. C., Quinn T. G., and Hill R. M., "Rigid lens centration: Effects of lens design and meterial density", ICLE 23(1):6-12(1996).
  7. 박영진, 변장원, 마기중, 박수봉, 원찬희, "각막곡률계와 Corneal topography system의 비교", 대한시과학회지, 1(1):111-123(1999).
  8. 김재호, "RGP 콘택트렌즈", 초판, 현문사, 서울, pp.7 (1998).
  9. Ming W., Tracy S., Renzo M., Nancy K. T., and Doug H., "Corneal topography in wavefront era: A guide for clinical application",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46(2):327-328(2006).
  10. Clark B. A., and Knoll H. A., "Variations in corneal topography", Optom. Vis. Sci., 56(11):399-413(1973).
  11. Bogan S. J., Waring G. O., Ibrahim O., and Drews C., "Classification of normal corneal topography based on computer-assisted videokeratography", Arch. Ophthalmol., 108:945-949(1990). https://doi.org/10.1001/archopht.1990.01070090047037
  12. 김성준, 이진학, 김동명, 장봉린, 윤동호, "정상 각막에서의 전산화 각막형태검사", 대한안과학회지, 37(11):1789- 1795(1996).
  13. Faber E., Golding T. R., Lowe R., and Brennan N. A., "Effect of hydrogel lens wear on tear film stability", Optom. Vis. Sci., 68(5):380-384(1991). https://doi.org/10.1097/00006324-199105000-00010
  14. 박상일, 이연진, 이흠숙, 박미정, "순목에 의한 소프트콘 택트렌즈의 순간적인 움직임;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움직임 변화", 한국안광학회지, 12(1):1-7(2007).
  15. 최병철, 박성현, "SPSS와 SAS분석을 통한 실험계획법의 이해", 초판, 민영사, 서울, pp.26-30(2005).
  16. 박미라, 이재원, "EXCEL을 이용한 의한 데이터의 통계분석", 개정판, 자유 아카데미, pp.159-165(2007).
  17. George A. K., Miltiadis K. T., George D. K., Harilaos S. G., and Ioannis G. P., "Estimating variability in placidobased topography system", Optom. Vis. Sci., 84(10):962- 968(2007). https://doi.org/10.1097/OPX.0b013e318157a68c
  18. 배철용, 김상덕, 김재덕, "Orbscan을 이용한 근시안의 각막 전후면 지도와 축곡률지도의 형태적 분류", 대한안과학회지, 43(11):2124-2131(2002).
  19. 김대수, "콘택트렌즈 운동의 기초", 한국안광학회지, 13(1):5-13(2008).
  20. Theodore B., Anastasios G. P. K., and Effrosini M., "The role of computerized corneal topography in rigid gas permeable contact lens fitting", CLAO J., 24(4):206-209 (1998).
  21. Worp E. V. D, Brabander J., Lubberman B., and Hendriske F., "Optimising RGP lens fitting in normal eyes using 3D topographic data", Cont. Lens Anterior Eye, 25:95-99(2002). https://doi.org/10.1016/S1367-0484(02)000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