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of Residential Mobility: The Case of Jinju City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 진주시를 사례로

  • Lee, Chung-Sup (Institute of Rice, Life and Civiliz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정섭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 Received : 2010.11.08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could be an alternative to cross-sectional data. In this study, each residential mobilities of birth cohorts' is traced by the cohort data from repeated cross-section in the case of Jinju city.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fertilities by era, the volume of each cohort as a consumer in housing has varied and the condition of housing stock also has changed as the time goes by. These changes in housing make not only age effect stressed in Rossi's model, but also cohort and period effect. Due to theses effects of time, every residential mobility trajectories of generations' is different especially in earlier life stages. As households get older, it is found that the age effect reduces and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mobility is lower. As this result, the residential succession and filtering between the earlier and latter generations is weakened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could be happened by birth cohort.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의 횡단면적 접근과 분석이 가지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출생코호트 접근을 하였다.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진주시를 사례로 5세 연령 간격으로 출생코호트를 구분하고 각각의 주거이동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요로서 인구변천과 출산력, 주거공급으로서 주택재고와 주거지역 입지 등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형이 강조하고 있는 연령효과 이외에도 코호트효과와 기간효과가 확인되며, 이로 인해 각 출생코호트의 주거이동 궤적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효과가 감소하였고 이동은 감소, 안정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출생코호트 간의 주거승계가 미약하거나 단절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연령집단이 주거를 서로 달리하는 가족지위보다 출생코호트를 주거분화 요인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