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reness of Evaluative Accrediation System of the Heads and Teachers in Childcare Centers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 Lim, Yang-Mi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
  • Kim, Hye-Gum (Dept. of Child Care Education, DongNam Health College) ;
  • Jeon, Kyung-Sook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 임양미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 전경숙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Received : 2010.11.15
  • Accepted : 2011.02.24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whether there would be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Evaluative Accreditation System(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Evaluative Accreditation, the effect of Evaluative Accreditation, and the preferred public support types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in Evaluative Accreditation) between child-care directors and teachers, and among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168 child-care directors and 423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test and the t-tes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Evaluative Accreditation among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awareness of the effect of Evaluative Accreditation on child-care service areas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and among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in terms of child-care services. Third, in terms of the preferred public support for the encouragement of participation in Evaluative Accreditation,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and among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Keywords

References

  1. 강달금․이영석(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문제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85-216.
  2. 금미숙(2007).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경혜.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85-112.
  4. 김동례(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동례․이현경(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48.
  6. 김수향.최연희(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7. 김영희․박지현․이은주(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 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3), 387-397.
  8.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1), 169-188.
  9. 남선영(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2005년 인증 통과 보육시설 대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라소영(2006).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시설의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마미정(2006). 성공적인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위한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11-135.
  12. 박복매.문혁준(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8), 1-11.
  13. 박지현․김영희․이은주(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교사의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49.
  14.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0). 어린이집 10개 중 6개 평가인증 통과(제 1차 평가인증 종합 결과 발표). 2010. 3. 25.
  15.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서.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
  16. 서문희․이상헌․임유경(200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서현(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준비과정에 나타난 보육교사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29.
  18. 오민수(2007). 보육시설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우연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가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원정아․이진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 전후의 교사효능감과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아동교육, 17(4), 213-224.
  21. 유희정(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운영 평가와 과제. 육아 지원기관 평가의 과제와 전망. 육아정책세미나자료집, 43-75.
  22. 이경채(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이나영(2006).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미정․이진희(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25. 이재완.류수현(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361-381.
  26. 전경숙․임양미․김헤금․이혜선(2009). 경기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7. 정덕희(2007). 정부비지원시설장이 바라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71-393.
  28. 조경서․유준호(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 참여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67-95.
  29. 조혜경․오애순(2007). 지역사회 대학연수가 교사의 평가인증지표 이해에 미치는 보육경력별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4.
  30. 채혜선․현정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31. 최미숙․이미혜․이민경(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실시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9(2), 129-150.
  32. 탁옥경․배지희(2007a).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3.
  33. 탁옥경․배지희(2007b).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나타나는 어린이집의 변화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9(4), 257-280.
  34. 하영례․고경필(2007).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7-153.
  35. 하은경․김주후․김경란(2008).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평가인증 심의 통과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53-176.
  36. Bloom, P. J.(1996). The quality of work life in NAEYC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early childhood progra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7(4), 301-318.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704_1
  37. Howe, M. B.(2000). Improving child care and promoting accreditation: The millitary model. Young Children, 55(5), 61-63.
  38. Lee, J. & Walsh, D. J.(2006). Early childhood practitioners and sccreditation: Perceptives and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23-51.
  39. Wangnam, J.(1992). National Accreditation of Early Childhood Services: Confronting the Issues. Independent Education, 22(1), 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