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달금․이영석(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문제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185-216.
- 금미숙(2007).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경혜.김진숙(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반응.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85-112.
- 김동례(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동례․이현경(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참여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48.
- 김수향.최연희(2009). 평가인증에 통과한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아동교육, 18(2), 65-78.
- 김영희․박지현․이은주(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 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3), 387-397.
- 김향은(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한국아동학회, 29(1), 169-188.
- 남선영(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2005년 인증 통과 보육시설 대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라소영(2006). 평가인증에 대한 보육시설의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마미정(2006). 성공적인 보육시설 평가인증 준비과정을 위한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11-135.
- 박복매.문혁준(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8), 1-11.
- 박지현․김영희․이은주(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교사의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49.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10). 어린이집 10개 중 6개 평가인증 통과(제 1차 평가인증 종합 결과 발표). 2010. 3. 25.
-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서. 보육시설 평가인증 사무국.
- 서문희․이상헌․임유경(200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현(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위한 준비과정에 나타난 보육교사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50, 1-29.
- 오민수(2007). 보육시설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시설장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우연희(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가 보육교사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원정아․이진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 전후의 교사효능감과 평가인증 과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아동교육, 17(4), 213-224.
- 유희정(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 운영 평가와 과제. 육아 지원기관 평가의 과제와 전망. 육아정책세미나자료집, 43-75.
- 이경채(2003).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나영(2006).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정․이진희(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 지표의 영아 대상 적절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11-135.
- 이재완.류수현(2006).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361-381.
- 전경숙․임양미․김헤금․이혜선(2009). 경기도 보육시설 평가인증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정덕희(2007). 정부비지원시설장이 바라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71-393.
- 조경서․유준호(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 참여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67-95.
- 조혜경․오애순(2007). 지역사회 대학연수가 교사의 평가인증지표 이해에 미치는 보육경력별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4.
- 채혜선․현정희(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 최미숙․이미혜․이민경(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실시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9(2), 129-150.
- 탁옥경․배지희(2007a).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3.
- 탁옥경․배지희(2007b).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 나타나는 어린이집의 변화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9(4), 257-280.
- 하영례․고경필(2007).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1, 127-153.
- 하은경․김주후․김경란(2008).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참여 및 만족도 분석: 평가인증 심의 통과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53-176.
- Bloom, P. J.(1996). The quality of work life in NAEYC accredited and nonaccredited early childhood program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7(4), 301-318.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704_1
- Howe, M. B.(2000). Improving child care and promoting accreditation: The millitary model. Young Children, 55(5), 61-63.
- Lee, J. & Walsh, D. J.(2006). Early childhood practitioners and sccreditation: Perceptives and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23-51.
- Wangnam, J.(1992). National Accreditation of Early Childhood Services: Confronting the Issues. Independent Education, 22(1), 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