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ivation of Sparassis crispa on Several kinds of Medium Density and Particle Size of Sawdust-based Medium Made of Larix kaempferi

낙엽송 톱밥배지 밀도 및 입자크기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재배특성

  • Park, Hy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Ryu, Sung-Ryul (Korea Forest Seed & Variety Center) ;
  • Ka, Kang-Hyeo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Utilizat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
  • 유성열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 가강현 (국립산림과학원 녹색자원이용부)
  • Received : 2010.03.15
  • Accepted : 2010.07.17
  • Published : 2011.01.25

Abstract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is being cultivated as a functional mushroom since the mushroom contains larger amount of ${\beta}$-glucan than other edible or medicinal mushrooms. In this study,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cultivation process of cauliflower mushroom, we assayed the mycelial growth and the productivity of the mushroom cultivated on the sawdust-based medium made of larch ($Larix$ $kaempferi$) by 4 kinds of medium densities and 6 kinds of particle sizes. Low densities of sawdust-based media (0.68~0.72 g/$cm^3$) showed high variations in mycelial growth at early stage on sawdust-based medium. The coefficient of variance for the mycelial growth decreased from higher than 40% at the 3rd week to lower than 10% at the 7th week. High density of sawdust-based medium (0.80 g/$cm^3$) showed relatively lower variation in the mycelial growth at early stage with less than 30% of coefficient of variance, the high density of sawdust-based medium was thought to be quite stable compared to the lower densities of sawdust-based medium. From the viewpoint of mushroom productivity especially for the goods (excluding bottom of fruiting body), 0.76 g/$cm^3$ was better than any other densities; the return rates of fruiting body from each medium were 12.2, 13.6, 13.1, and 12.0% for 0.80, 0.76, 0.72, and 0.68 g/$cm^3$, respectively. By the way, it took about 40 days for harvesting from primordium formation with the sawdust-based medium excluded the particles less than 1 mm, while it took about 70 days with the medium including the particles less than 1 mm. The yield from the sawdust-based medium with the particles less than 1 mm was also quite less than any other sawdust-based medium especially for the goods.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e sawdust-based medium with larch for the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be prepared as 0.76 g/$cm^3$ in medium density with excluding the particles less than 1 mm.

꽃송이버섯은 다량의 ${\beta}$-glucan을 함유하고 있어서 기능성 버섯으로 재배가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배공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엽송 톱밥배지를 대상으로 밀도와 입자 크기에 따른 균사 생장 및 생산량 차이를 검정하였다. 저밀도(0.68~0.72 g/$cm^3$)의 톱밥배지에서 균사 생장의 변이계수는 초기에 40%를 초과하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가 7주차 이후에는 10% 이내로 줄어들었다. 반면, 고밀도(0.80 g/$cm^3$)의 경우에는 초기에도 상대적으로 낮은 30% 수준의 변이계수를 나타내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생산량에서는 상품성이 높은 꽃 부분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0.80 g/$cm^3$은 12.2%, 0.76 g/$cm^3$은 13.6%, 0.72 g/$cm^3$은 13.1%, 그리고 0.68 g/$cm^3$은 12.0%로 환산되어 0.76 g/$cm^3$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1 mm 이하의 톱밥을 배제한 경우에는 원기 형성 후 자실체 수확까지 40일 정도 소요되지만, 1 mm 이하의 톱밥이 섞일 경우는 70일이 소요되었다. 또한 생산량에 있어서도, 꽃 부분만을 고려하면 1 mm 이하의 입자를 포함한 경우에는 다른 처리에 비하여 생산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낙엽송 톱밥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1 mm 이하의 톱밥은 제외하고, 0.76 g/$cm^3$의 밀도로 배지를 조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재윤, 강찬영, 이응수, 서준원, 이현종, 박헌. 2010. 국내산 낙엽송의 톱밥 유형에 따른 펠릿특성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38(1): 49-55.
  2. 박현, 오득실, 가강현, 유성열, 박주생, 황재홍, 박준모. 2009. 꽃송이버섯에 의한 침엽수 심재부후 발생환경 및 낙엽송 피해목의 재질 특성. 한국임학회지 98(1): 16-25.
  3. 박현, 이봉훈, 가강현, 박원철, 오득실, 박준모, 천우재. 2006. 증기 처리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목재공학 34(3): 84-89.
  4. 박현, 이봉훈, 오득실, 가강현, 박원철, 이학주. 2005. 보릿가루가 첨가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임산에너지 24(2): 31-36.
  5. 오득실. 2003. 꽃송이버섯의 균사생장 최적화를 위한 배지조성 및 배양조건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p. 33.
  6. 오득실. 2009. 꽃송이버섯 자생지의 입지조건과 재배 특성 및 이용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오득실, 박현, 박화식, 김명석, 채정기. 2006. 소맥분과 물엿을 첨가한 침엽수 톱밥배지에서의 꽃송이버섯 생산. 한국버섯학회지 4(1): 39-42.
  8. 유성열, 가강현, 박현, 박원철, 이봉훈. 2009. 낙엽송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균주별 재배 특성. 한국균학회지 37(1): 49-54. https://doi.org/10.4489/KJM.2009.37.1.049
  9. 정종천, 박정식, 홍인표, 석순자, 전창성, 이찬중. 2008. 꽃송이버섯의 배양적 특성. 한국균학회지 36(1): 16-21.
  10. 윤갑희, 가강현, 천우재, 박준모, 심미자, 이봉훈, 양영국, 정석용. 2006. 능이 접종묘 생산 및 꽃송이버섯 재배 실용화 기술. 2006년도 연구사업 보고서(임산공학분야, 5-2). 국립산림과학원 390-411.
  11. Lee, J. M., J. Y. Kim, K.-D. Choi, K.-D. Han, H. Hur, S. W. Kim, J.-O. Shim, J. Y. Lee, T.-S. Lee, and M. W. Lee. 2004. Sawdust media affecting the mycelial growth and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Sparassis crispa. Mycobiology 32(4): 190-193. https://doi.org/10.4489/MYCO.2004.32.4.190
  12. Shim, J.-O., S.-G. Son, S.-O. Yoon, Y.-S. Lee, T.-S. Lee, S.-S. Lee, K.-D. Lee, and M.-W. Lee. 1998. The optimal factors for the mycelial growth of Sparassis crispa.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6(1): 39-46.

Cited by

  1. Enhancement of β-Glucan Content in the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by Elicitation vol.42, pp.1, 2014, https://doi.org/10.5941/MYCO.2014.42.1.41
  2. Optimal Medium Composi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Cultivation Using Douglas Fir Wood Chip and Comparison of The β-glucan Contents of The Fruiting Body vol.42, pp.4, 2014, https://doi.org/10.5658/WOOD.2014.42.4.428
  3. ) vol.14, pp.3, 2018, https://doi.org/10.1080/21580103.2018.147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