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Research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for Kindergarten's Teachers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수학적 이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ye, Young-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sin University)
  • Received : 2010.12.14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ied into a qualitative research to see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s teachers such as feeling attitude, parents' concern, difficulty of math teaching in kindergarten field, teacher's role, type of feed back, beauty of math, relationship of real life, and self philosophy of math education. We selected 10 teachers whose career was 7~10 years. Because this research way is qualitative, we can new aspect that teacher want to break their ignorance for math. Moreover, they would like to learn about math practicality, application, and beauty from art in professional training. Therefore we assert that fusion math lecture would support in the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 preschool or kindergarten's president training, and remuneration training.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계영희.이강래 (1996). 대도시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5(2), 157-167.
  3. 계영희.이강래.김종명 (1997). 수학에 대한 고등학교학생의 성별차이에 관한 정의적 태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6(2), 95-106.
  4. 계영희.이강래.김종명 (2010).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한국수학사학회지, 23(2), 123-140.
  5. 권민균.응우엔 티빙 투이 (2007).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베트남과 한국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 16(2), 95-114.
  6. 권영례 (2010). 유아수학교육, 2판, 파주: 양서원.
  7. 김상윤 (2010). 아동발달, 서울: 학지사.
  8. 김세루 외 (2008).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141-157.
  9. 김영국 외 7인 (2001). 수학기피요인의 설정 및 기피성향의 분석도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0(2), 217-239.
  10. 김영천 (2008).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11. 김창복.황정숙.김경철 (2006). 유아수학교육, 파주: 양서원.
  12. 김현순 (1999). 유아교사의 교육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노선숙 (2000). 미국 수학교육 동향에 관한 소고, 교과교육연구, 4, 171-186.
  14. 문연심 (2009). 퉁합적 접근에 기초한 영유아 수학교육, 파주: 양서원.
  15. 박찬옥.박창현 (2010). 유아교육자와 초등교육자들의 유-초 연계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면담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87-109.
  16. 서현아.배지미 (2004). 유치원 교사의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15-147
  17. 윤진주.유지은 (2009).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 과정의 반영 정도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9(4), 217-239.
  18. 이대균.백경순 (2007).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167-191.
  19. 이영자.이정욱 (1997). 유치원 교실에서 관찰된 만 3, 4, 5세 유아를 위한 언어 및 수학 활동의 분석, 교육학 연구, 35(4), 195-227.
  20. 이정희.이지현 (2004). NCTM의 수학교육 내용 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9(3), 351-369.
  21. 전경원 (1999).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 유아연구방법 I, 서울: 창지사.
  22. 정정희 (2001).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6(3), 97-116.
  23. 조부경.서소영 (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24. 조영환 (2002).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경기: 교육과학사.
  25. 천혜경.홍혜경 (2009). 영아의 수학적 탐색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조사, 유아교육연구, 29(5), 65-93.
  26. 한유미 (2002). 미술을 통한 수학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테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2(2), 271-287.
  27. 한종화.박찬옥 (2004).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8(1), 141-173.
  28. 홍혜경 (2009). 유아수학능력 발달과 교육, 파주: 양서원.
  29. Aiken, L. R. (1970).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 551-596. https://doi.org/10.3102/00346543040004551
  30. Aunola, K., Leskinen, E., Lerkkanen, M., & Clements, D. H. (2003). Creative Pathways to Math, Early Childhood Today, 17(4), 4.
  31.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공역 (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2. Denzin, N. K., &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33. Epstein, A. S. (2007). The Intentional Teacher, Washington, DC: NAEYC.
  34. Ginsburg, H. P. (2006). Mathematical Play and Playful Mathematics: A Guide for Early Education, In D. Singer.
  35. Golinkoff, R. M., & Hirsh-Pasek, K. (Eds.). Play=Learning : How play motivates and enhances children's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growth, NY: Oxford Univ. Press.
  36. Irving Seidman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3rd), / 박혜준.이승연 옮김 (2009).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37. NCTM (1998).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8.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9. Nurmi, J. (2004). Developmental Dynamics of Math Performance from Preschool to Grade 2.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4), 699-713. https://doi.org/10.1037/0022-0663.96.4.699
  40. Randall J. Souviney (2001).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2n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41. Sandman, R. S. (1980).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4), 338-355.
  42.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 홍영희 외 옮김 (2000). 질적사례연구, 서울: 창지사.
  43. Whestly, K. F. (2003). Positive Teacher Efficacy as an Obstacle to Educational Reform,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34, 4-27.

Cited by

  1.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Beliefs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o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vol.39, pp.2,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