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echnology Activity, Innovation and Productivity using Korean Patent Information

한국특허정보를 통한 기술활동성, 혁신성 및 생산성 평가

  • Yun, In-Sik (Dept. of Mechatronics, Kyunggi Institute of Technology) ;
  • Kim, Seok-Ji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 Jeong, Eui-Seob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윤인식 (경기공업대학 메카트로닉스과) ;
  • 김석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정의섭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Received : 2011.03.16
  • Accepted : 2011.04.0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Patent information as the innovative index for activity of industry, science and technology reflects the inventive outcome of the nation, region, technology, or company etc.. and is able to be used as a tool evaluating the R&D product and technology diffusion. In this study, the index for analysing the productivity, innovation, and activity of the technology is provided to evaluate the technology in fields of the pharmaceutic, transport, biotechnology, textile, construction, machine parts, information media, and electric/telecommunication, which are becoming the national core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echnology activity in fields of the construction, pharmaceutic, and biotechnology shows a growing trend which reflect the interest in the quality and the extension of the life, but vice versa in fields of the textile, and information media. The innovation index in fields of the construction, pharmaceutic, and biotechnology index more than average, but vice versa in fields of the information media and electric/telecommunication. In case of technology productivity, more than 2 patentees are included in one patented technolog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technology productivity is decreased because of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r participating the technology development, which is the recent trend of technology advancement.

특허정보는 산업 및 과학기술활동의 혁신지수로서 국가, 지역, 기술, 기업 등 발명의 성과를 반영하고, 기술의 확산 및 R&D의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분석을 통하여 기술생산성, 혁신성 및 기술활동성을 분석할 수 있는 지수를 발굴하여 기술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국가적으로 핵심기술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의약, 운수, 바이오, 섬유, 건설, 기계부품, 정보매체, 전자/통신 산업에 대해 적용하여 기술성을 평가하였다. 기술활동성에 있어서 삶의 질과 생명연장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하여 건설, 의약 바이오분야에서 활발한 기술활동이 이루어진 반면에 섬유와 정보매체 분야의 기술활동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약, 바이오, 건설분야가 평균보다 높은 혁신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보매체 및 전자통신분야의 혁신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술생산성에 있어서 특허기술 1건당 발명자가 약 2인 정도로 나타났으며, 최근 들어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연구원의 수가 늘어나면서 기술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회, 박상성, 신영근, 장동식. 2007. 네트워크 중심전을 위한 정보보호기술의 특허동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2): 355-364.
  2. 김방룡, 황성현. 2009. 특허 정보를 활용한 IT 유 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논문지 네트워크 및 서비스, 34(10b): 1021-1030.
  3. 김진용, 정재용. 2003.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통신 산업혁신체제의 역동성 분석. 기술혁신연구, 11(2): 283-314.
  4. 남영준, 정의섭. 2006. 인용정보를 이용한 신 특허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1): 221-241.
  5. 민재홍, 조평동, 정해원. 2009. 정보통신 표준특허 확보 전략 동향 분석. 전자통신동향분석, 24(1): 113-121.
  6. 박현우, 김기일. 2007. 특허정보를 통한 PMP 연구동향과 기술경쟁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9): 117-126.
  7. 신한섭. 2007. 특허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통합형 특허지표 설계. 경영과학, 24(2): 1-18.
  8. 심재륜. 2009. 정보통신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보청기' 관련 특허의 현황 분석 및 이의 시사점 - 국내에 특허 등록된 316건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2): 294-302.
  9. 엄대호, 장영배, 정의섭. 2010. 한국특허정보의 통계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1(2): 27-44.
  10. 윤진효, 권오진, 박진서, 정의섭. 2010. 특허기반 개방형 혁신 분석 모델 개발 및 적용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1(2): 99-123.
  11. 이기봉, 전상구, 노남선, 김광호, 신대현, 김선욱, 김용헌. 2009. 오일샌드 역청 개질 기술의 특허정보 분석. 한국공업화학회, 19(6): 592-599.
  12. 정의섭, 서진이, 김완종, 권오진, 노경란. 2006. 특허분석의 전략적 파트너 - 알기쉬운 특허지표 활용가이드. 서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3. 정혜순, 서진이. 2009. 나노기술이 응용된 화장품의 특허 정보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2009)2: 245-258.
  14.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정보전략팀. 2005. 한국의 특허동향 2005. Patent 21, 65(1.2): 4-22.
  15. Balassa B. 2001.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led Comparative Advantage."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33(1965): 99-124.
  16. Griliches, Z. 1990. "Patent Statistics as Economic Indicators: A Survey."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XXVIII: 1661- 1707.
  17. Inka Havrila, Pemasiri Gunawardana. 2003. "Analysing Comparative Advantage and Competitiveness: An Application to Australia's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Australian Economic Papers, 42(1): 103-117. https://doi.org/10.1111/1467-8454.00189
  18. KIPRIS. [인용 2010. 01. 12].
  19. NDSL. 특허사이트. [인용 2010. 01. 12]. .

Cited by

  1. Review on the Pharmacopuncture Patent in Korea vol.34, pp.4, 2017, https://doi.org/10.14406/acu.2017.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