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및 맞춤제작 적용을 통한 보조기구 서비스 지원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ervice Delivery from Rental, Modification and Customized the Applications of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이근민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 이진현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연구실) ;
  • 김동옥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 투고 : 2011.11.26
  • 심사 : 2011.12.26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특성, 환경, 활동 영역 및 보조기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공적급여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정부주도의 장애인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맞춤제작을 통한 보조공학 전달체계 서비스의 주요한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사례 연구로 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절차 하에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보조기구 무상교부의 절차와 다른 보다 전문적인 상담, 평가 및 회의 등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후 그들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는 상용화된 보조기구를 지원하기 전에 전문기관의 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대여하여 사용하게 한 후 대상자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지원되게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한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그 결과 장애에 적합한 보조기구의 사용은 보조기구의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활동범위는 증가하였고, 신체적 피로 및 보호자의 의존도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제한적이어서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전문기관의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해 더욱 다양한 사례의 수집으로 그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대상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Comprehens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was devised to describe the full social and engineering contex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ystems, applications, and provision. It is based on a detailed decomposition of the four attributes: Person, Context, Activ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The paper commences will a brief discussion of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the services delivery, including rental of devices, modification of manufacture goods and customized production and the use of engineering to supplement some elements of the description.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he presentation of two case studies of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ese are the identification of accessibility barriers,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assistive technology systems and the provision of a framework for identitying end-user requirements,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and assessing the associated outcomes. This case study involves the presentation of the concept of a personal assistive technology profile.

키워드

참고문헌

  1. 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보건사회연구원, 2005.
  2. 이진현, 최미나, 임성빈,이 근민, 2010. "뇌병변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 논문집, 제4권, 제1호, 한국재활복지공학회, pp.83-88, 2010.
  3. Cook A. M., and Hussey S. M.,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s and practice, Saint Louis, MO: Mosby, 1995.
  4. 한국장애인개발원, 공적급여 보조기구 지원 효율화를 위한 한국형 서비스 모델 개발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1.
  5. 오길승, 김형우, 오도영, 남세현, "2004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및 수요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5.
  6. 공진용, 안나연, 오현정, 정승민, 조재덕, "장애인 복지관의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실태조사", 보조공학저널, 제2권, 제1호, 대한재활공학회, pp.53-68, 2008
  7. 이근민,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적 접근 방안",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 제33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1-28, 1999.
  8. 정경자, "뇌성마비 학생의 식사태도 및 행동양상", 중복.지체부자유아연구, 제14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65-80, 1989.
  9. Marion A. Hersh, and Michael A. J., "On modelling assistive technology systems", Technology and Disability, vol.20, no.4, IOS Press, pp.251-27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