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Directing For Three Dimensional Films -Focusing On -

3D 입체영상의 시각적 연출 특성 연구 -영화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를 중심으로-

  • 김세훈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 김민정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 강지원 (한성대학교 미디어디자인콘텐츠학부)
  • Received : 2010.12.06
  • Accepted : 2011.02.2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All over the world, the interest in technology and industrial value has been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continuing commercial successes of three dimensional films. However, after the commercial success of , without exception, lots of three dimensional films had been produced thoughtlessly. Hereby, these films incurred a censure owing to bad degree of completion related to insufficient storytelling and directing. For three dimensional films, characteristic of producing should be considered perfectly in the planning stage unlike previous films. This study concentrates upon proper directing for three dimensional films, and analyzes the method of it,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 the lapse of time, directing the screen which can highlight space sense, and the point of sight. Henceforth, The demand of three dimensional contents will increase all around the world, at such time, we also should take note of the change, and then produce excellent contents which can lead to have a chance to gain the supper hand in the market of three dimensional contents.

3D 입체영화의 성공사례가 지속되면서 전세계적으로 관련 기술과 산업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아바타>의 성공 이후 많은 영화들 이 무분별하게 3D 입체영화로 제작되면서, 미흡한 스토리텔링과 연출로 인해 영화의 완성도가 떨어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3D 입체영화는 기존의 영화와는 다른 제작상의 특징들을 기획 단계부터 철저히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3D 입체영화에 적합한 연출에 중점을 두고 크게 시간적 요소, 공간감을 살리는 화면연출, 시점으로 나누어 적합한 연출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향후 전세계적으로 3D 입체콘텐츠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며,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주목하여,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3D 입체영상 콘텐츠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81613033605184
  2.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7541
  3. 호요성, 김성열, 3DTV 3차원 입체영상 정보처리, 두양사, pp.12-17, 2010.
  4. http://100.naver.com/100.nhn?docid=130978
  5. 전창의, Issue 08-02, 영화진흥위원회, 영상산업정책연구소, <입체영화의 동향과 전망>, 2008.
  6. 이상규 홍보팀장 인터뷰, 영화진흥위원회, CINNO, 2009(9).
  7. 이승구.이용관, 영화용어해설집, 집문당, p.483, 2000,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1003900
  8. 김경호, <3D 입체 애니메이션 영화에 있어서 시각적 연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3, 2009(12).
  9. 호요성, 김성열, 3DTV 3차원 입체영상 정보처리, 두양사, pp.13-16, 2010
  10. 김정현, “애니메이션 영화 쇼트에 대한 실증적 연구: <더킹>과 <뮬란>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논문지 통권 제7호, p.33, 2005.
  11. 이승구.이용관, 영화용어해설집, 집문당, p.93, 2000.
  12. Jacques Aumont 외, 이용주 역. Esthetique de Film(영화미학), 동문선, p.140, 2003.
  13. 이재우, “입체영화 시대의 한국영화 기술경쟁력 제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8권, 제1호, p.34.

Cited by

  1. Personalized Dietary Nutrition Contents Recommendation using Hybrid Filtering for Managing Health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001
  2. Realistic Expression Factors According to Visual Presence in Terms of Iris color and Pupil Accommodation of Virtual Avatar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001
  3. The Extraction of Depth Discontinuities Using Disparity Map for Human Visual Fatigue vol.6, pp.4, 2014, https://doi.org/10.7763/IJCTE.2014.V6.884
  4. An Analysis of Visual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Desire in Animation - Regarding Affiliation, Achievement, and Nurturance vol.19, pp.6,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6.1074
  5. Evaluation Model of the Visual Fatigue on the 3D Stereoscopic Video vol.8, pp.4, 2016, https://doi.org/10.7763/IJCTE.2016.V8.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