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s based on Landscape Indices - Focusing on Landscape Ecological Aspects -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경관생태학적 접근

  • Received : 2011.06.07
  • Accepted : 2011.08.0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39 rural villages in Korea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fter producing a land-use map of rural villages, this study quantified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ites as 18 landscape indexes using Fragstats. By applying the landscape index as a variable, selecting 4 factor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it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Rural villages of Korea have their unique types of land-use due to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geography, climate and ecology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use can be analysed and classified using the landscape index, the quantified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Keywords

References

  1. 김근호, 조동범, 김미향, 2006, 비오톱유형에 의한 농촌생태마을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9(6), 63-7.
  2. 김한수, 오충현, 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5(3), 389-403.
  3. 서주환, 최현상, 1999, 토지이용변화를 이용한 농촌경관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69-79.
  4. 서주환 ,조영배, 이준근, 2002, 형태지수를 이용한 농촌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6(2), 7-14.
  5. 송민경, 장훈, 20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8(1), 83-88.
  6. 이상학, 1995, 마을 단위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농업경제연구, 36, 129-143.
  7. 이종상, 2002, 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 국토계획, 37(4), 191-199.
  8. 오정학, 김영걸, 권진오, 2007,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49-57.
  9. 오내원, 2000, "조건불리지역 농업의 특성과 직접지불제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임승빈, 신지훈, 윤희정, 2002, 생태.문화자원에 기초한 농촌마을 유형구분 및 문제점 분석, 농촌계획, 8(1) 77-84.
  12. 임영득, 홍선기, 중월신화, 장남기, 2000, 한국 농산촌 경관의 구조와 이질성 및 다양성의 최근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3(5), 359-368.
  13.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3, 도시경관계획수립을 위한 경관파편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 11-20.
  14. 정안성, 1990, 농촌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철모, 1994, 한국농촌의 합리적 정주체계설정에 관한 연구 : 전북 군단위지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용현, 2000, 경관지수를 이용한 지역생태계 평가, 환경영향평가학회지, 9(4), 349-362.
  17. 최양부 외,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홍경희, 1985, 촌락지리학, 서울: 법문사.
  19. Baker, W.L. and Y. Cai., 1992, The r. le Programs for Multiscal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Using the GRAS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Landscape Ecology, 7, 291-302. https://doi.org/10.1007/BF00131258
  20. Forman, R.T.T., 1995, Some general principles of landscape and regional ecology, Landscape Ecology, 10(3), 133-142. https://doi.org/10.1007/BF00133027
  21. Kim, K.H. and S. Pauleit., 2007, Landscape Character, Biodiversity and Land Use Planning: The Case of Kwangju City Region, South Korea, Land Use Policy, 24(1), 264-274.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05.12.001
  22. Li. H. and J. Wu., 2004, Use and Misuse of Landscape indices, Landscape Ecology, 19, 389-399. https://doi.org/10.1023/B:LAND.0000030441.15628.d6
  23. McGarigal, K and Marks B.J.,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351,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Portland, Oregon, 122.

Cited by

  1. A Study on Application of Landscape Diagnosis Index and Landscape Formation Plan of Rural Villages vol.19, pp.4,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149
  2.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Measure of Rural Villages Landscapes Level vol.19, pp.3,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3.107
  3. 경관생태학적 특성이 조류출현에 미치는 영향 - 낙동강 하구를 대상으로 - vol.24, pp.3, 2011, https://doi.org/10.14249/eia.2015.24.3.287
  4. 농업경영체 등록정보를 활용한 밭 경작지의 공간적 파편화 특성 분석 vol.60, pp.2, 2011, https://doi.org/10.5389/ksae.2018.60.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