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ng Vegetation Structure of Aemirang Hill in the Nakdongjeongmaek, Korea

낙동정맥 애미랑재 지역의 식생구조 분석

  • Lee, Soo-D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Science and Technology) ;
  • Lee, Seung-Joo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 이승주 (한국농어촌공사)
  • Received : 2011.07.05
  • Accepted : 2011.09.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paper is to contribute for management and restoration as a basic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in Aemirang Hill, Nakdongjeongmaek.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we set up 25 plots($100m^2$). The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was used by TWINSPAN classification.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7 types i.e.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mongolica-Betula davurica community, Larix leptolep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re progressively transforming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at is called Pinus densiflora next succession stage. Whereas the communities that has dominant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did not appear a next generation succession tree such as Carpinus laxiflora, Carpinus cordata in the under story and shrub layer. Therefore, Aemirang Hill's ecological succession was to maintain the status condition. Aemirang Hill's diversity index is 0.5738 to 0.8906. It were analyzed that diversity index was lower than other places.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관리범위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심포지엄 자료, 64.
  2. 국토연구원, 2002a,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II: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2차연구), 환경부, 323.
  3. 국토연구원, 2002b,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관리방안 중심(2차연도) 세미나, 97.
  4. 국토연구원, 2004, 한반도 산맥체계 재정립 연구: 산줄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29.
  5. 국토연구원, 녹색연합, 1999,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 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113.
  6. 권태호, 이준우, 김동욱, 2004,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75-183.
  7. 권태호, 최송현, 유기준, 2002,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유역확장방식에 의한 접근,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4), 106-118.
  8. 김갑태, 엄태원, 2004,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의 지역 구분을 위한 식생지수에 관한 연구: 남덕유산 - 소사고개 구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58-166.
  9. 김갑태, 추갑철, 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10.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4, 백두대간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9-17.
  11. 김남춘, 남언정, 신경준, 2008, 백두대간 절토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72-84.
  12. 김동필, 최송현, 2004,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79-287.
  13. 김인택, 1998, 가지산의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3. 57-51.
  14. 김인택, 송민섭, 이지훈, 1996, 가지산 도립공원의 식물상: I, 석남사지역,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5, 101-136.
  15. 김인택, 송민섭, 이지훈(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6: 43-72.
  16. 박상곤, 조현제, 이창배(2009)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림의 식생형과 식물상 조성, 한국임학회지, 98(4): 464-471.
  17.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구룡사-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2(1): 1-8.
  18.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9. 백재봉, 최송현, 조재우(2000) 석남사 지역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지, 18(4): 68-76.
  20. 산림청(1996) 백두대간 관현 문헌집, 21-77.
  21.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의 산림실태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263-271쪽.
  22.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연구, 306쪽.
  23.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연구, 279쪽.
  24.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3)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25. 송민섭(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26. 송유성(2007) 팔공산 파계사의 풍수지리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5쪽.
  27. 신경옥(2004) 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밀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쪽.
  28. 신준환(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97-204
  29. 양보경(1997) 조선시대의 '백두대간' 개념의 형성, 진단학보 83: 85-106.
  30.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31. 오구균, 이정은(2003) 백두대간의 식물상, 식생, 이용 및 환경훼손에 관한 학술자료: 지리산 천왕봉부터 덕유산 향적봉 사이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 475-486.
  32. 유기준(2002) 백두대간의 개념적 관리범위모형 수립을 위한 접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408-419.
  33. 유기준, 권태호, 최송현(2004), 백두대간 지역의 효율적 자원관리의 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408-419.
  34. 이경재, 구관효, 최재식, 조현서(1991)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 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5(1): 55-67.
  35. 이경재, 민성환, 한봉호(1997) 설악산국립공원 주전골계곡 식물군집구조 분석, 환경생태학회지 10(2): 283-296.
  36. 이경재, 최송현, 조재창(1992) 광릉 삼림의 식물군집구조(II)-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죽엽산 삼림의 식물군집구조 분석-, 한국식물학회지 33(3): 173-182.
  37.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 이윤원(1994) 덕유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구조분석-백련사-금포탄 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7(1): 35-54.
  38. 이동근, 송원경, 전성우, 성현찬, 손동엽(2007),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41-53.
  39. 이지혜, 권혜진,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송호경(2008)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4): 67-74.
  40. 임동옥, 김용식 박양규, 유은미, 고명희(2004)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07-123
  41. 임업연구원(2003) 백두대간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설정, 420쪽.
  42. 조현서, 이수동(2010)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5): 582-590.
  43. 조현서, 최송현(2002)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백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69-378.
  44. 최송현(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44-353.
  45. 최송현, 오구균(2003)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21-432.
  46. 최송현, 오구균, 강현미(2004) 백두대간 남덕유산-소사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31-141.
  47. 최송현, 이경재(1993) 북한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의 5년간 변화 연구, 응용생태연구 7(1): 35-48.
  48. 최송현, 조현서, 김보현(2003) 백두대간 정령치-고기리 구간의 해발고에 따른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33-440.
  49. 추갑철, 김갑태(2004) 백두대간 수령-소사고개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150-157.
  50. 추갑철, 김갑태(2005)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83-89.
  51.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52.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53.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Sons, N.Y. 165pp
  54.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

Cited by

  1.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vol.30, pp.3, 2011, https://doi.org/10.13047/kjee.2016.30.3.386
  2. 낙동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중심으로 - vol.20, pp.5,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7.2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