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란 이식에 의해 생산된 칡소의 모색 발현

Characteristics of Coat Color Distribution of Offsprings Produced by Embryo Transfer in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 이호준 (국립한경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
  • 김상환 (국립한경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
  • 이경태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
  • 윤종택 (국립한경대학교 생물환경정보통신 전문대학원 동물생명공학)
  • Lee, Ho-Jun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wan (Institute of Genetic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yong-Tae (Agriculture Technology Center) ;
  • Yoon, Jong-Taek (Dept. of Animal Life Scienc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1.10
  • 심사 : 2011.12.15
  • 발행 : 2011.12.31

초록

본 연구는 수정란 이식에 의해 생산된 울릉칡소의 모색분포의 조사를 통해 울릉칡소의 모색 고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울릉칡소의 모색 분포는 황모 24.3%(67/276두), 흑모 13.0%(36/276두)와 호반모 62.7% (173/276두)의 분포를 보였으며, 입식우의 호반모 출현율이 66%(105/159두)로 관내이식에 의해 생산된 칡소의 호반모 비율 58.1%(68/117두)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성별에 따른 모색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수컷의 경우 황모의 비율이 18.1%(25/138두)로 암컷의 31.4%(43/137두)에 비해 출현율이 낮은 반면, 호반모의 비율은 68.1%(94/138두)로 암컷의 56.9%(78/137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비경의 흑반점의 강약에 따른 호반모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비경의 흑반점이 강할수록 호반모의 흑모 발현율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coat color among Ulleung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and to identify basic genetic elements required for the fixation of coat color traits. 1. The distribution of coat color among Ulleung Korean Native Brindle Cattle was 24.3% yellow (67/276),13.0% black (36/276), 62.7% brindle (173/276). The frequency of Brindle coat color was slightly higher (66%, 105/159) among embryo transfer from outside than that of cows produced by embryo transfer from jurisdiction. 2. Investigation of coat color distribution in each sex group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yellow coat color was lower in males (18.1%, 25/138) than in females (31.4%, 43/137).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brindle coat color was slightly higher among males (68.1%, 94/138) than in females (56.9%, 78/137). 3. Examination of Brindle coat color express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black dots on the nose indicated that the expression of black coat color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intensity of black dots.

키워드

참고문헌

  1. 吉田雄次郞(1920) 朝鮮牛の 毛色に 就て. 조선농회보 15.
  2. 金子悌二(1939) 咸南 畜産十年史.
  3. 설동섭, 이문연 (1994) 쇠고기 생산자원으로서의 한우. 축산분야종합학술대회 특별심포지움. pp.37-52.
  4. 손시환, 이철영, 김두환, 박구부, 이정규, 신철교, 정희석, 곽석준, 박명규, 천민성, 백철승, 고영두 (2000) 칡소의 염색체 양상과 핵형 분석. 한국축산학회지. 42:1-8.
  5. 이성수, 양보석, 양영훈, 강승률, 고서봉, 정진관, 오운용, 오성종, 김규일 (2002) 칡소와 비경흑색 한우의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유전자형 분석.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23-30.
  6. 박연수, 황환섭, 유재원, 김남옥 (2007) 재래 칡소의 정액 특성 및 인공수정에 의한 송아지 모색 분포. 한국동물번식학회지. 31:4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