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Modification in Fashion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eory of 'Corps sans Organes' of Deleuze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론에 기반한 현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신체특성

  • Lee, Jee-Hy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1.06.23
  • Accepted : 2011.10.14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body modification i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Corps sans Organes' of Deleuze. An argument about the changes of ideal body to defin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imes has lasted for a long time. Therefore, analyzing body modification in fashion illustration to express the ideal beauty could be effective motives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ideal bodies related with socio-cultural meanings, an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overall trends of modern fashion illustration. To classify the types of body modification, the concept of 'Corps sans Organes' of Deleuze was used as an analyzing tool. As the final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body modifi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ragmentation of bodies, the pastiche of bodies, and the abstraction of bodies. First, in the fragmentation of bodies, which is related with flexibility, pluralism, and subjective views on body, the bodies were separated as molecules. Second, the elements of pastiche of bodies could be subdivided into five sub-groups; sex, plants, animals, texts and figure, and machines. The pastiche of bodies was used to extend the limitation of human capabilities and to reinterpret the human identities. Last, the abstraction of bodies based on contingency, indeterminacy, and subjective associations could be related with the nomadic and indefinite body images. The body modification could be considered as the context of nomadism, indeterminacy, and virtuality of modern-times, and it would be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body modification in fashion illustrations.

Keywords

References

  1. Anneke Krull (2010), The beautiful Illustrations for Fashion and Style, Berlin: Gestalten.
  2. Kevin Tallon (2008), Digital Fashion Illustration, London: Batsford.
  3. Laird Borrelli (2008), Fashion Illustration by Fashion Designers, London: Thames & Hudson Ltd.
  4. Laird Borrelli (2004 a), Fashion Illustration Next, London: Thames & Hudson Ltd.
  5. Laird Borrelli (2004 b), Fashion Illustration Now, London: Thames & Hudson Ltd.
  6. Marta R. Hidalgo (2010), The Sourcebook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7. Martin Dawber (2004), New Fashion Illustration, London: Batsford.
  8. Martin Dawber (2007), Big Book of Fashion Illustration, London: Batsford.
  9. Victionary (2007), Fashion Unfolding, Hongkong: Viction: workshop Ltd.
  10. 김상환, 홍준기 (2003), 라깡의 재탄생, 서울: 창작과 비평사, pp. 423-427.
  11. 미셸 푸코, Surveiller et punir : naissance de la prison, 오생근 역 (2003), 감시와 처벌, 서울: 나남출판, pp. 94-95.
  12. 양희영, 이명희 (2010), 기관 없는 신체와 탈영토화된 패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복식문화연구, 18(5), pp. 824-841.
  13. 허정선 (2004), 패션아트의 신체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소희 (2009), 메를로 퐁티와 푸코의 신체론 비교, 철학연구, 37, p. 127.
  15. 양운덕 (2005), 욕망의 사회적 동학으로 조명하는 공적 합리성-라깡과 들뢰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9, pp. 221-267.
  16. 김상환, 홍준기 (2003), 라깡의 재탄생, 서울: 창작과 비평사, pp. 422.
  17. 신승철 (2003),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 대한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18. Artaud. A., The body is the body, Roger McKeon 역 (1977), Semiotext, Anti-Oedipus, 2(3), p. 59.
  19. 질 들뢰즈, 하태환 역 (2002), 감각의 논리, 서울: 민음사, p. 57.
  20.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Mille plateaux, 김재인 역 (2001), 천개의 고원, 서울: 새물결, p. 305.
  21. 나일화 (2010), 무용예술의 미학적 논의에 있어서 질 들뢰즈 사상의 수용과 의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54-56.
  22. 신승철 (2003), 들뢰즈/가타리의 욕망론과 신체론에 대한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1.
  23. 윤성우 (2006), 포스트구조주의의 욕망론, 프랑스학연구, 36, p. 132.
  24. 보그. R., Deleuze & Guattari, 이정우 역(1995), 들뢰즈와 가타리, 서울: 새길, p. 145.
  25. 오생근 (2005), 데카르트, 푸코, 들뢰즈의 육체, 성평등연구, 9, p. 495.
  26. 질 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Mille plateaux, 김재인 역 (2001), 천개의 고원, 서울: 새물결, p. 971.
  27. 이진경 (2002), 노마디즘 1, 서울: 휴머니스트, p. 131.
  28. 김석 (2006),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29, pp. 173-202.
  29. 연효숙 (2006),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 그리고 여성적 주체, 한국여성철학, 6, pp. 77-102.
  30. 박현신 (2003), 20세기 후기 패션의 신체부재와 탈재현 현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임은혁 (2006), 복식에 표현된 몸의 재현성(2), 복식, 56(9), pp. 66-82.
  32. 김혜영 (2001),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을 통해 본 몸 양식과 현대 패션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은혁 (2007), 현대 패션에 표현된 몸의 파편화, 복식, 57(6), pp. 145-159.
  34. 최유진 (2009),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파편화된 신체 이미지 연구, 복식, 59(9), pp. 43-54.
  35. 강현숙 (2010), 21세기 초 패션에 나타난 body deformation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임은혁 (2006), 복식에 표현된 몸의 재현성(2), 복식, 56(9), pp. 81.
  37. 이지현 (2009),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다중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4), pp. 644-645.
  38. 최정화 (2009),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판타스틱 신체의 표현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6), pp. 867-877.
  39. 김순자 (2007), 후기구조주의적 신체론에 의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신체표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7), pp. 1052-1063.
  40. 한은애 (2006),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아르브뤼적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정임, 이연희 (2006), 현대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유희적 표현, 복식문화연구, 16(6), pp. 1142-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