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rrelation for Uterine Myoma and Stress by Ultrasonography

초음파 검사에 의한 자궁근종과 스트레스의 상관성 분석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0.11.17
  • Published : 2011.01.28

Abstract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myoma and stress using korean version of BEPSI survey in 374 women more than 19 years age. Diagnosis method made use of ultrasonography for a case-control group because it is low cost, convenient and safety. Prevalence of myoma was 29.7% and according to resulting of cross-tabulations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myoma and stress using BEPSI-K survey, the high group of stress showed a high prevalence of myoma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correlation between myoma and stress will be a help to prevention of myoma.

본 연구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374명을 대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안전한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자궁근종을 확인하였으며, 자궁근종이 진단된 모집단과 자궁근종이 없는 대조군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스트레스 척도인 BEPSI-K(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K) 설문서를 이용하여 스트레스와 자궁근종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자궁근종의 유병률은 29.7%로 나타났으며, BEPSI-K 설문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궁근종과의 상관관계를 교차분석한 결과, 자궁근종이 진단된 모집단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이는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현대 여성의 자궁근종 발생 요인 중 스트레스가 자궁근종의 발병 원인 중의 하나 임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 A. Athey and F. P. Hadlock,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St. Louis, Mosby, pp.174-185, 1985.
  2. Landrine, "Patterns of adjustment and human effectiveness," N.Y., McGraw-Hill., pp.71-73, 1989.
  3. Brown and Harris, "Stress and the art of biofeedback," N.Y., Bantam Books, p.843, 1978.
  4. H. Selye, "History and Present status concept. Handbook of Stress," New York, The Free Press, pp.7-17, 1982.
  5. 김은희, "스트레스와 피부상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pp.5-12, 2004.
  6. E. R. Novak, G. S. Jones, and H. W. Jr. Jones, "Textbook of Gynecologic," Baltimore, Williams & Wilkins, p.443, 1988.
  7. 남정자, "여성의 생애 주기별 건강문제와 대책",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2000.
  8. 차철환, "산업보건관리의사의 활동과 지침:정신보건관리의 실제", 고려대학교 환경의학연구소, pp.156-171, 1993.
  9. 임지혁, 배종면, 최순식,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 도구로서 한국어판 BEPSI 설문서(수정판)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Vol.17, No.1, pp.42-53, 1996.
  10. Scott Howard Frank, Stephen J. Zyzanski,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26, No.5, pp.533-539, 1988.
  11. 최지현, 김정구, "건강관련 요인이 자궁근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pp.325-33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325
  12. 박정규, 윤석근, 김성욱,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Vol.48, No.2, pp.436-445, 2005.
  13. 황성연, 홍성진, 김창홍 등, "자궁근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연구", 원광의과학, Vol.13, No,2, pp.87-96, 1997.
  14. 이기환, "자궁근종의 임상 병리학적 고찰", Chungnam Medical Journal, Vol.21, No.2, pp.433-442, 1994.
  15. G. P. Flake and J. A. Darlene Dixon,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Uterine leiomyomas : A review,"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11, No.8, pp.1037-1054, 2003.
  16. D. D. Brandon, T. E. Erickson, and E. J. Keenan,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human Uterine leiomyoma," J. Clin. Endocrinol. Metab., Vol.80, No.6, pp.1876-1881, 1995. https://doi.org/10.1210/jc.80.6.1876
  17. D. D. Brandon, C. L. Bethea, and E. Y. Strawn, "Progesterone receptor messenger ribonucleic acid and protein are overexpressed in human Uterine leiomyomas," Am. J. Obstet. Gynecol., Vol.169, No.1, pp.78-85, 1993. https://doi.org/10.1016/0002-9378(93)90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