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Early Passive ROM Exercise on ROM of Lower Extremities and Foot Edema in Hemiplegia Patients with Stroke

조기 수동적 하지 관절운동이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하지 관절가동범위와 발부종에 미치는 효과

  • Lee, Joo Sun (Department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Mary's Hospital) ;
  • Lee, Eun Ok (Department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Mary's Hospital) ;
  • Lee, Eun Ju (Department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Mary's Hospital) ;
  • Kim, Haeng Su (Department of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Mary's Hospital)
  • 이주선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NSICU) ;
  • 이은옥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NSICU) ;
  • 이은주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NSICU) ;
  • 김행수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NSICU)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1.02.25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passive range of motion (ROM) exercise on ROM of lower extremities and foot edema in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2009 and April 2010 from 11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in the control group. The passive ROM exercise was performed twice a day for 2 weeks.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OM of lower extremities (flexion of hip, flexion of knee and ankl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t edema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arly passive ROM exercise can improve the ROM of lower extremities, but not the foot edema in patients after stroke.

Keywords

References

  1. 강권영, 송병호(2008). 편마비 환자의 균형기능향상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5 (2 ), 87 -9 5 .
  2. 구애련, 이충휘(1995). 주관절 가동범위 측정법에 대한 동시타당도와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 (2), 46-55.
  3. 김권영, 김도균, 신수범(2001). 편마비환자에서의수동적 하지관절 운동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5 (6), 928-933.
  4. 김민수, 곽민아, 한무규, 서해경(2001). 중풍 편마비환자의 하지길 이부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2 (4), 59-67.
  5. 김원호, 황명옥, 박은영(2007). 발병 후 3개월이 경과한 뇌졸중환자 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 (1), 74-81.
  6. 김태훈, 이동엽, 김남조, 송창호(2006). 아급성 뇌졸중환자에 있어 서 운동성 평가를 통한 일상생활동작 정도의 예견성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 (6), 331-340.
  7. 김현주(2008). 양측상지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이 급성기 뇌 졸중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8. 대한뇌졸중학회(2005). 뇌졸중 이야기. 2009. 8. 10. http://www. stroke.or.kr/stroke/index.html에서 인출
  9. 박정숙, 우순녀, 여현주, 김경숙(2003). 수지뜸 요법이 노인의 슬관절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생활활동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0 (2), 244-253.
  10. 박준민, 최경효, 전민호(1998). 단하지 보조기의 족관절 각도에 따른 보행 양상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2 (5), 1129-1135.
  11. 서연옥(1999).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상태 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9 (3), 665-678.
  12. 송미숙, 조경기(1997). 신경외과 전문간호 및 조기재활 프로그램이 급성기 자발성 뇌출혈 수술환자의 조기회복과 환자가족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6 (8), 1084-1093.
  13. 신정빈, 문재호, 오현탁, 손민균(1988). 뇌졸중의 조기재활치료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2 (1), 78-84.
  14. 양은진, 김현주, 안현숙, 이은하(2006). 조기상지 운동이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손부종과 상지경직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2 (1), 147-157.
  15. 양충용, 김태진, 이진훈, 주민철, 오경재, 박순아 등(2009). 편마비 환자에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하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 향. 대한재활의학회지, 33 (1), 29-35.
  16. 이규리, 김근조(1999).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동향.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6 (3), 41-52.
  17. 최인호, 황진우, 유상민, 정재중, 이용현, 송윤경 등(2006). 뇌졸중 후유증으로 인한 족하수(Foot drop)의 예방과 치료에 첩대 요법을 병행한 환자 치험 2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1 (2), 49-60.
  18. 통계청(2010. 9. 9). 2009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10. 12. 20.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bmode=read&aSeq=179505에서 인출
  19. 한태륜, 방문석(2008).재활의학 (제3판). 서울: 군자출판사.
  20. Dijkerman, H. C., Ietswaart, M., Johnston, M., & MacWalter, R. S. (2004).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8 (5), 538-549.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69oa
  21. Dirette, D., & Hinojosa, J. (1994). Effects of continuous passive motion on the edematous hands of two persons with flaccid hemiplegia.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 (5), 403-409. https://doi.org/10.5014/ajot.48.5.403
  22. Hayes, S. H., & Carroll, S. R. (1986). Early intervention care in the acute stroke pati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7 (5), 319-321.
  23. Hunter, J. M., & Mackin, E. J. (1984). Edema and bandaging. In J. M. Hunter et al. (Eds.), Rehabilitation of the Hand (pp. 146-153). St. Louis, MO: Mosby.
  24. Johnson, C. A., Burridge, J. H., Strike, P. W., Wood, D. E., & Swain, I. D. (2004). The effect of combined use of Botulinum toxin type A and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spastic drop foot after strok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6), 902-909. https://doi.org/10.1016/j.apmr.2003.08.081
  25. Teasell, R. W., Bhogal, S. K., Foley, N. C., & Speechley, M. R. (2003). Gait retraining post stroke. Top Stroke Rehabilitation, 10 (2), 34-65. https://doi.org/10.1310/UDXE-MJFF-53V2-EAP0
  26. Vasudevan, S. V., & Melvin, J. L. (1979). Upper extremity edema control: Rationale of the technique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3(8), 520-523.
  27. Voigt, M., & Sinkjaer, T. (2000).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the walking pattern in hemiplegic patients with foot-drop using a peroneal nerve stimulator. Clinical Biomechanics, 15(5), 340-351. https://doi.org/10.1016/S0268-0033(99)0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