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권영, 송병호(2008). 편마비 환자의 균형기능향상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5 (2 ), 87 -9 5 .
- 구애련, 이충휘(1995). 주관절 가동범위 측정법에 대한 동시타당도와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 (2), 46-55.
- 김권영, 김도균, 신수범(2001). 편마비환자에서의수동적 하지관절 운동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5 (6), 928-933.
- 김민수, 곽민아, 한무규, 서해경(2001). 중풍 편마비환자의 하지길 이부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2 (4), 59-67.
- 김원호, 황명옥, 박은영(2007). 발병 후 3개월이 경과한 뇌졸중환자 의 일상생활동작에 물리치료와 작업치료가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4 (1), 74-81.
- 김태훈, 이동엽, 김남조, 송창호(2006). 아급성 뇌졸중환자에 있어 서 운동성 평가를 통한 일상생활동작 정도의 예견성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 (6), 331-340.
- 김현주(2008). 양측상지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이 급성기 뇌 졸중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 대한뇌졸중학회(2005). 뇌졸중 이야기. 2009. 8. 10. http://www. stroke.or.kr/stroke/index.html에서 인출
- 박정숙, 우순녀, 여현주, 김경숙(2003). 수지뜸 요법이 노인의 슬관절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일상생활활동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0 (2), 244-253.
- 박준민, 최경효, 전민호(1998). 단하지 보조기의 족관절 각도에 따른 보행 양상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2 (5), 1129-1135.
- 서연옥(1999).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기능상태 회복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9 (3), 665-678.
- 송미숙, 조경기(1997). 신경외과 전문간호 및 조기재활 프로그램이 급성기 자발성 뇌출혈 수술환자의 조기회복과 환자가족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6 (8), 1084-1093.
- 신정빈, 문재호, 오현탁, 손민균(1988). 뇌졸중의 조기재활치료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2 (1), 78-84.
- 양은진, 김현주, 안현숙, 이은하(2006). 조기상지 운동이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손부종과 상지경직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2 (1), 147-157.
- 양충용, 김태진, 이진훈, 주민철, 오경재, 박순아 등(2009). 편마비 환자에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가 하지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 향. 대한재활의학회지, 33 (1), 29-35.
- 이규리, 김근조(1999).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동향.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6 (3), 41-52.
- 최인호, 황진우, 유상민, 정재중, 이용현, 송윤경 등(2006). 뇌졸중 후유증으로 인한 족하수(Foot drop)의 예방과 치료에 첩대 요법을 병행한 환자 치험 2례.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1 (2), 49-60.
- 통계청(2010. 9. 9). 2009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10. 12. 20.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 bmode=read&aSeq=179505에서 인출
- 한태륜, 방문석(2008).재활의학 (제3판). 서울: 군자출판사.
- Dijkerman, H. C., Ietswaart, M., Johnston, M., & MacWalter, R. S. (2004).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18 (5), 538-549.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769oa
- Dirette, D., & Hinojosa, J. (1994). Effects of continuous passive motion on the edematous hands of two persons with flaccid hemiplegia.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 (5), 403-409. https://doi.org/10.5014/ajot.48.5.403
- Hayes, S. H., & Carroll, S. R. (1986). Early intervention care in the acute stroke pati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7 (5), 319-321.
- Hunter, J. M., & Mackin, E. J. (1984). Edema and bandaging. In J. M. Hunter et al. (Eds.), Rehabilitation of the Hand (pp. 146-153). St. Louis, MO: Mosby.
- Johnson, C. A., Burridge, J. H., Strike, P. W., Wood, D. E., & Swain, I. D. (2004). The effect of combined use of Botulinum toxin type A and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spastic drop foot after strok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6), 902-909. https://doi.org/10.1016/j.apmr.2003.08.081
- Teasell, R. W., Bhogal, S. K., Foley, N. C., & Speechley, M. R. (2003). Gait retraining post stroke. Top Stroke Rehabilitation, 10 (2), 34-65. https://doi.org/10.1310/UDXE-MJFF-53V2-EAP0
- Vasudevan, S. V., & Melvin, J. L. (1979). Upper extremity edema control: Rationale of the technique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3(8), 520-523.
- Voigt, M., & Sinkjaer, T. (2000). Kinematic and kinetic analysis of the walking pattern in hemiplegic patients with foot-drop using a peroneal nerve stimulator. Clinical Biomechanics, 15(5), 340-351. https://doi.org/10.1016/S0268-0033(99)00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