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and Urban Forest of Chuncheon City

춘천시 도심하천(태백천)과 도시림에 있어서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 Son, Ho-Jun (Beak Nyeong B & G) ;
  • Ahn, Chi-Ho (Beak Nyeong B & G) ;
  • Ahn, Seung-Il (Gangwon-do Provincial Office, Forest Management Department) ;
  • Kim, Nam-Yo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So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2.10
  • Accepted : 2011.04.2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inva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ized plants. The vascular plants in these areas were consisted of total 381 taxa: 81 families, 234 genera, 295 species, 2 subspecies, 66 verieties, 18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naturalized plants (Sicyos angulatus, Barbarea vulgaris, Thlaspi arvense, Amorpha fruticosa, Trifolium pratense,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Rumex acetosella etc.) were 41 taxa. The Naturalization Index (NI) was 10.70% and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5.30% at Chuncheon city. The Invasion Index was 63.41% at urban river and 97.56% at stream high, 19.51% at urban forest area.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춘천시를 도심하천, 하천상류 및 임연부, 도시림지역으로 나누어 귀화 식물 분포현황과 침입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한 결과 춘천시 내의 태백천유역과 도시림의 식물상은 81과 234속 295종 2아종 66변종 18품종 총 381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귀화식물은 가시박, 유럽나도냉이, 말냉이, 족제비싸리, 붉은토끼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등 총 41종류가 나타났다. 춘천시 내의 태백천유역과 도시림의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각 10.79%, 15.30%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침입지수(II)는 도심하천지역이 63.41%, 하천상류 및 임연부지역이 97.56%, 도시림지역이 19.51%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계환, 서병수, 박종민, 변무섭, 박준모. 2002. 만경강 중하류 유역의 식물군집구조. 전북대학교 농대논문집 33: 78-87.
  2. 남택호, 반수홍, 오충현. 2008. 서울 중랑천 귀화식물 분포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008(1): 80-82.
  3. 노재현. 1997. 한국 귀화식물의 특성 및 조경적 가치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66-77.
  4. 노재현, 허 준. 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5.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pp. 371.
  6. 박완근, 안치호, 유석인. 2001. 춘천시 태백천 하천변의 식물상 연구 -귀화식물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학술림연구지 21: 9-23.
  7. 변무섭, 오현경, 김영하, 김 연. 2005.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231-245.
  8. 산림청. 2010. 국가표준식물목록. www.nature.go.kr
  9. 오현경, 김 연, 변무섭. 2005. 정읍천 상수원보호구역의 식생과 귀화식물 분포현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2): 47-55.
  10. 유주한, 박경훈, 윤영철. 2010.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8(4): 96-105.
  11.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 II). 교학사, 서울. pp. 975.
  12.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 2002.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13.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하). 향문사, 서울. pp. 901.
  14. 이혜정, 한준수, 이우철, 유기억. 2008.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4): 356-395.
  15.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 2004.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 288-296.
  16.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 69-83.
  17. 한정은, 김소영, 김원희, 이지연, 김주환, 노태호, 최병희. 2007. 중부지방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환경생물 25(2): 115-123.
  18. Engler. A. 1964. Syllabus der Pflanzen familien II. Geriider Borntrager. Berlin-Niko Lass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