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for a Couple in Pre-Divorce Decision-Making Stage

이혼 전 의사결정단계 부부를 위한 치료 사례 연구

  • Kim, Jung-Ok (Department of Family Life Welfare & Hou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김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생활복지주거학과)
  • Received : 2011.10.25
  • Accepted : 2011.11.16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a couple in the pre-divorce stage. We used data from the case study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and enhancements related to the family of origin. Our sample was the couple in pre-divorce stage who has been married for 3 years.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used were taken from Positive Psychology, Family Systems Theory, Communication Theory, and Solution-Focused Therapy. We counseled the couple once a week for 10 sessions from $5^{th}$ October to $7^{th}$ December in 2010. Our objective was to give a positive perspective on the couple who was in the pre-divorce stage. We also provided clear-cut, practical techniques for responding productively to inappropriate expressions of anger. The couple acquired strategies to make their relationship work more effectively. Finally, the couple set their family goals for adjustment instead of divorce.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자, 김갑숙(1993). 고부관계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1), 235-247.
  2. 김동일(2010). 이혼상담사 조정위원을 위한 심화교육. 서울: 한국상담연합회.
  3. 김성천, 이소영, 장혜림(2002). 해결중심 집단치료. 서울: 청목출판사.
  4. 김재원(2001). 말의 상처에 대하여. 사회언어학, 9(1), 41-65.
  5. 김정옥, 박경규, 구향숙, 한동희, 류도희, 전형미(1999). 결혼과 가족. 서울: 학지사.
  6. 김진숙(2010). 이혼가족의 긍정심리적 상담. 이혼상담사 조정위원을 위한 심화교육, 55-64.
  7. 김혜정(2008). 가족간 갈등대화의 구조와 책략 연구 - 고부.부부간 갈등대화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200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서울: 학지사.
  9. 박경(2002). 우울한 중년여성의 부부관계 및 의사소통. 여성건강, 3(2), 19-32.
  10. 박경란, 이영숙(2003). 고부관계에서 며느리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노인복지학회, 22, 79-104.
  11. 박태영(2000a). 이혼한 부부의 재결합을 위한 부부치료.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모임 및 사례발표, 17-38.
  12. 박태영(2000b). 이혼하려는 부부에 대한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와 이야기치료의 적용. 가족치료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학지사.
  13. 박태영, 김태한, 김혜선(2009). 이혼위기에 있는 결혼 초기 부부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93-114.
  14. 신수진, 최준식(2002).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서울: 집문당.
  15. 신영화(2005). 이혼전 상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상황과 복지, 21, 121-154.
  16. 엄예선(1988). 한국가족과 가족치료-한국 도시중산층을 위한 정신치료모형의 구상. 한국사회복지학회, 12, 93-115.
  17. 윤명숙(2000). 이혼과정치료.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발표논문, 39-49.
  18. 이두원(2009).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 과정 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7(1), 129-151.
  19. 이혜자(2003). 시모의 고부갈등 유형화와 관련변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19, 31-59.
  20. 장미희, 전원희(2008). 성인여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2), 236-244.
  21. 전영주(2004). 이혼 전 상담의 임상적 쟁점에 대한 고찰. 상담학 연구, 6(1), 245-259.
  22. 최인숙(1995). 이혼문제를 지닌 부부상담에서 자문을 활용한 상담사례. 이화여대사회복지학과 편.가족치료총론, 서울: 동인.
  23. 통계청(2011). 통계연감. http://www.kostat.go.kr/에서 2011년 10월 2일 인출.
  24. 하상희(2008).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29-141.
  25. Brock, G. W., & Barnard, C. P.(2002). Procedures in Marriage and Family Therapy. Allyn and Bacon.
  26. Canary, D. J., Cupach, W. R., & Serpe, R.(2001). A competence-based approach examine interpersonal conflict: Test of a longitudinal model. Communication Research, 28, 79-104. https://doi.org/10.1177/009365001028001003
  27. Goldenberg, I., & Goldenberg, H.(2007). Family therapy : An overview.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8. Johnson, S. L., & Jacob, T.(2000). Sequential interactions i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depressed men and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1), 4-12. https://doi.org/10.1037/0022-006X.68.1.4
  29. Kaslow, F. W., & Schwarz, L.(1987). Dyanmic of divorce : A life cycle perspective, N. Y. : Brunner/Mazel, Inc.
  30. Kim, B. L., & Ryu, E.(2005). Korean family. pp. 349-362. in M. McGoldrick, J. Giordano and N. Garcia- Preto(Eds.). Ethnicity and family therapy, NY: The Grilford Press.
  31. Miles, M. B., & Huberman, A. M.(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Thousand Oaks, CA: SAGE.
  32. Sprenkle, D. H.(1985). Introduction : divorce therapy, in K. H. Sprenkle(Eds.). Divorce therapy, NY: The Haworth Press.
  33. Sprenkle, D. H., & Storm, C. L.(1983). Divorce therapy and outcome research: A substantive and methodolog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 722-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