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Analyzing the Status Quo of Docent Training Program and Searching Its Development Direction in Science Museum of Korea

  •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 ;
  • 이정화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
  • Park, Young-Sh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 Lee, Jung-Hwa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11.10.12
  • 심사 : 2011.12.19
  • 발행 : 2011.12.31

초록

과거 과학관은 단순히 수집품 전시와 관람객들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체험에 그쳤지만 근래 과학관은 과학관에 대한 일반인 및 학생들의 높아지고 있는 교육적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즉, 도슨트를 양성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관람객들의 교육적 만족도를 높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도슨트는 다양한 관람객들에게 전시품 등을 설명하고 안내하는 사람으로 관람객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과학관을 대상으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한 국내 도슨트 양성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도슨트 활동과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국내 4곳과 국외 4곳을 선정하고, 이 연구대상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도슨트 양성프로그램, 도슨트 양성 및 관리 책임자와 활동 중인 도슨트의 현장 인터뷰, 전자메일, 그 외 문서자료)를 분석하여 비형식교육기관인 과학관의 교육적 역할에 있어서 도슨트 양성과 운영이 국내 과학교육에서 얼마나 결정적인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대중화 목적을 위한 과학관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도슨트를 일반적 자원봉사자와 차별화하여 모집 양성해야 한다. 둘째, 도슨트 전문성을 위해서 이론적인 전시내용을 벗어난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전시해설 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경력 도슨트와의 멘토링을 통해 양성 및 전문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셋째, 도슨트 교육을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 학교교육에서 실행하지 못하는 과학적 소양의 요소-전시물을 이용한 과학탐구 경험을 통한 과학윤리의 습득-을 과학관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도슨트의 전문화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science museum in the past satisfied visitors only by interacting them with simple objects and exhibition, while one in modern times was requested to meet the need of visitors in their engagement in educational programs. To meet the visitors' need, the science museum made efforts to train, educate, and assign docents so that they can interact with visitors and serve the educational purpose of visit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docent training programs from science museums/science centers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o make implication on how to design a docent training and professional program. Programs from four national and four international science centers/museums were selected as a sample for analysis. Their docent training program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f surveys and interviews and emails from docents and docent managers/evaluators. Artifacts and documents of the docent training programs were also collected and used to construct the validity in analyzing the data, resulting in the well-developed docent training program as the critical one for enriching science museum education. The results included; First, we need to recruit and train docents who interact visitors directly but they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regular volunteers for promoting science museum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science. Additionally, Second, we need to develop and run docent training program where docents can experience 'informal learning' exhibition interpreting strategies through the real field from mentoring from the experienced/senior docents beyond 'formal learning' exhibition content. Third, we need to equip docents with skills to make scientific literacy possible at science museum-such as experiencing scientific ethics through scientific inquiry-which happens limited at school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1997,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3)-수학, 과학, 가정- 219 p.
  2. 교육부, 1998, 제7차 초중등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서울, 594 p.
  3. 김도희, 2009, 과학교육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특성 및 활용방안: 생물교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p.
  4. 김소희, 송진웅, 2003,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서울시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44-560.
  5. 김영수, 2009, 국립민속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의 전문성강화와 역량 개발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 p.
  6.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북스힐, 서울, 195 p.
  7. 김항묵, 나기창, 김원사, 김정진, 정창희, 김진섭, 김익수, 이대암, 이유대, 김일회, 이우철, 최승언, 1996, 자연사박물관 건립을 위한 한국의 자연사 연구. 자연사 미래환경학회, 79-102.
  8. 김현빈,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 실태 조사 및 중등학생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및 정기총회, p. 302.
  9. 김혜원, 2004, 과학관의 교육 활동과 학교 교육의 연계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9 p.
  10. 나유미, 2008, 박물관 및 전시해설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2 p.
  11. 배봉균, 2006, 박물관교육의 전문인력 양성 및 활성화 연구. 경주사학, 24, 449-482.
  12. 송기혜, 2010, 전시 커뮤니케이션 효과증진을 위한 최적화 연출에 관한 연구: 자연사박물관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p.
  13. 신명경, 이창진, 2003,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4, 281-289.
  14. 안희수, 이창진, 박성혜, 1993, 세계의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조직 및 운영. 한국지구과학회, 14, 135-151.
  15. 양지연, 2001, 미술관 마케팅을 위한 관람객 연구. 예술경영연구, 1, 32-61.
  16. 윤소현, 2008, 자연사박물관에서 활용 가능한 생물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8 p.
  17. 장현숙, 최경희, 2006, 과학관 현장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6, 425-445.
  18. 정세진, 2003, 현장 체험활동에 관한 교사 인식과 적용: 전기 박물관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5 p.
  19. 조숙희, 2006, 자연사 박물관을 활용한 환경교육-우석헌 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3 p.
  20. 조준오, 이창진, 2010, 한국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 656-670.
  21. 초행임, 2006,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분석과 교육전문가(에듀케이터: educator) 양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9 p.
  22. 최지은, 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15-326.
  23. 최지은,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357-374.
  24. 한은희, 2007,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 p.
  25. Cooper-Fleck, M., 2001, Factors influencing the motivation and level of commitment of long-term volunteers in paleontology muse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yoming, 387 p.
  26. Cox-Petersen, A.M., Marsh, D.D., Kisiel, J., and Melbar, L.M., 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200-218. https://doi.org/10.1002/tea.10072
  27. Grenier, R.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 142-157. https://doi.org/10.1177/0741713608327369
  28. Kidd, A.H. and Kidd, R.M., 1997,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of docents in wildlife education. Psychological Reports, 80, 747-753. https://doi.org/10.2466/pr0.1997.80.3.747
  29. National Docent Council, 2001, The docent handbook. National Docent Council, USA, 103 p.
  30.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98, NSTA position statement on informa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8, 17-18.
  31. Sachatello-Sawyer, B., Fellenz, R.A., Burton, H., Gittings-Carlson, L., Lewis-Mahony, J., and Woolbaugh, W., 2002, Adult Museum Program. Walnut Creek, CA, USA, 280 p.
  32. Song, J., Lee, J., Kim, S., Oh, W., and Cho, S., 2004,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the facilities supporting students' out-of-school science activities and their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 157-170.

피인용 문헌

  1. A Case Study of Experienced Docent's Expertise in Science Exhibit Interpretation Using a Life History Approach vol.34, pp.3,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57
  2.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Exhibits at the Nuclear Information Halls vol.37, pp.6,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6.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