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ion and age on nut quality of major chestnut cultivars (Castanea spp.) cultiv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 quality control and processing of postharvest. In the survey of by regions and ages, Buyeo and 'Hyogo57' showed the highest value by regions and cultivars, respectively.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gions and cultivars in the value of soluble solid content and kernel hardness. In the soluble solid content, Gongju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regions, and 'Tsukuba' among cultivars was the highest, 20.5%. Cheongyang showed the highest value of kernel hardness among regions, and 'Tanzawa' among cultivars showed the lowest value of kernel hardness, $8.75kg/cm^2$. In 'Tanzawa', 'Okkwang' and 'Tsukuba', soluble solid content and kernel hard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but no correlation with age.
본 연구는 수확 후 밤 품질관리 및 가공을 위한 특성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밤나무 주요 품종을 대상으로 지역 및 수령에 따른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 및 품종별 과실 입중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로는 부여가 가장 크고, 품종별로는 '병고57호'가 타 품종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품종별로 과실당도와 과육경도를 조사한 결과, 품종 및 지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당도의 경우, 지역별로는 공주가 높고, 품종별로는 '축파'가 20.5%로 타 품종보다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경도에 있어서는 지역별로는 청양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품종별로는 단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단택', '옥광', '축파' 세 품종을 대상으로 수령에 따른 입중, 당도, 경도를 조사한 결과, 세 품종 모두 입중을 제외한 당도 및 경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었으나 수령과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