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al and Developing Process of Bansu at the Temple-School in China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 Received : 2011.11.08
  • Accepted : 2011.12.2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Bansu(泮水) which appeared uniquely at the Chinese 'temple-school(廟學)', Confucian schools as the common and necessary facilit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urveys. The earliest record about the Bansu was shown in "The Book of Odes(詩經)". Originally Bansu was the water system which flowed near the 'Banpalace(泮宮)', but, in the following time, Bansu has become the symbol of the school which was built by the feudal lords and a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temple-school landscape. Temple-schools were started at Song(宋) Dynasty and at that time there was no certain form of Bansu, just the natural water course near the structure. Until Ming Dynasty, the "Picture of the Feudal lords' Ban-su" in the book "Samjedohoe(三才圖會)" that compiled by Wang-Xi(王圻), the form of Bansu was appeared to be transformed as the half-round pond. And the half-round pond as called Banji(泮池) of today's form was all rebuilt after Ming Dynasty. The half-moon pond appeared at the private houses, shrines, temples and villages were influenced by the book. From this research we can get the conclusions that Banji seemed one of the sacred one and used in the space arrangement formally for the various functions. This research has found the cultures of half-moon ponds which were used uniquely in China.

본 연구는 중국의 독특한 묘학 반수의 역사적 기원과 변천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반수(泮水)의 특질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반수를 기록한 최초의 문헌인 "시경"에서는 반수가 반궁(泮宮) 곁에 흐르는 하천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후대에 반수는 제후의 학교인 반궁(泮宮) 조영에 있어 필수적인 조경시설이 되었고, 학교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학궁 조영에 있어서 중요한 위상을 점유한 수계로 인식되었다. 묘학제도가 시작된 북송시대의 반수는 일정한 형식 없이 주로 자연수계를 이용하였으나, 명대에는 왕기(王圻)가 편찬한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 제시된 "제후반궁도(諸侯泮宮圖)"가 표준이 되어 반원형의 지당이 반지로 여겨지게 되었으며, 현재 남아 있는 반지는 이러한 전형에 의해 명대 이후에 새롭게 조성된 것이다. 민간에 나타난 반월지도 이러한 삼재도회식 표준이 근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묘학 반지가 갖는 신성성과 형식적 공간질서가 차용된 결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사당, 사찰, 주택과 마을조경에 독특하게 조성된 반월지의 변천과정을 분석 고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병석(2008). 중국 선진시기 교육제도와 교학이론. 중국학연구논총. 1(0): 1-27.
  2. 김학주 역(2010). (새로 옮긴)시경. 서울: 명문당.
  3. 김현정(2005). 한무제의 명당 건립과 그 정치적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반고 저, 신정근 역주(2005). 백호통의. 서울: 소명촐판.
  5. 배옥영(2003). 주대의 상제의식과 유학사상. 대전: 상생출판.
  6. 성백효(1992). 논어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7. 성백효(1993). 시경집전.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8. 손세관(2001).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下). 서울: 미술책방.
  9. 송명호 역(2006). 예기집설대전(二). 서울: 도서출판 높은밭.
  10. 순자, 김학주 역(2001). 순자. 서울: 을유문화사.
  11. 심우경, 강훈(1989). 한국 고대 사찰에서 영지의 상징적 의미와 수경적 가치. 한국정원학회지. 7(1): 69-96.
  12. 왕기 찬집(2004). 삼재도회 권3. 서울: 민속원.
  13. 임태승(2006). 아이콘과 코드. 서울: 미술문화.
  14. 정기철(2000). 남계서원의 건축사적 의미. 한국동양예술학회지. 1(0): 393-425.
  15. 홍만선(1967). 산림경제 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6. 干希賢, 干涌(2005). 中國古代風水的理論與實踐(下). 北京: 光明日報出 版社,
  17. 孔穎達(1985). 禮記正義. 上海: 上海書店.
  18. 孔元措, 孔繼汾(1989). 孔氏祖庭廣記. 中國: 山東友誼書社.
  19. 戴埴(1965). 鼠璞. 台北: 藝文印書館.
  20. 戴震(1994). 戴震全書1권. 合肥: 黃山書社.
  21. 戴志堅, 李華珍, 潘瑩(2008). 中國民族建築概覽—華東卷. 北京: 中國電力出版社.
  22. 沈畅(2010). 泮池: 廟學理水的意義及表現形式. 中國園林. 2010(9): 59-63.
  23. 王其鈞(2009). 中國傳統建築組群. 北京: 中國電力出版社. 台北: 商務印書局.
  24. 王雲五(1973). 百衲本二十四史. 第21 新唐書(上).
  25. 劉敦楨(1991). 中國古代建築史.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6. 李修生 主編(2004). 全元文(36, 47). 南京: 江蘇古籍出版社.
  27. 李鸿渊(2010). 孔廟泮池之文化寓意探析. 中國名城. 2010(1): 20-26.
  28. 張亞祥, 劉磊(1998). 泮池考論. 孔子研究 1998(1): 36-39.
  29. 周應合 撰(1977). 景定建康志. 台北: 商務印書館.
  30. 曾棗莊, 劉琳 主編(2006). 全宋文(93, 177, 351).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31. 漢寶德(2003). 風水與環境. 天津: 天津古籍出版社.
  32. http://res4.nlc.gov.cn/home/index.trs?channelid=8
  33. http://v.daum.net/link/18508950?&CT=MY_RECENT
  34. http://www.itkc.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