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ure Land Represented on the Korean Buddhist Temples - Based on the Amitāyurdhyāna Sūtra -

한국사찰에 현현된 극락정토 - 관무량수경의 의보관을 중심으로 -

  • Hong, Kwang 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Kim, Jung Ho (Dept. of Landscape of th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홍광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김정호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10.18
  • Accepted : 2011.12.0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how the pure land(Sukkavati), which had the greatest impact on ordinary people since the Shilla period, are represented in the Buddhist temples. This study first looked into the seven landscapes of the pure land, which are written on the $Amit{\bar{a}}yurdhy{\bar{a}}na$ $S{\bar{u}}tra$ a reliance on $s{\bar{u}}tras$ of the Pure Land School. Then, their meaning in the modern world were interpreted. Next the research moved on to the next step to see how the spirit and ideas of the pure land are shown in temples of the Pure Land School. Korean temples of the Pure Land School were found to faithfully embody the landscapes of the pure land in the $Amit{\bar{a}}yurdhy{\bar{a}}na$ $S{\bar{u}}tra$. One might say that those landscape traits of the temples surveyed are common among all Korean buddhist temples, but in the temples of the Pure Land School. those traits consistently reflect special concepts, forming their landscape identity. But ponds, on which the $Amit{\bar{a}}yurdhy{\bar{a}}na$ $S{\bar{u}}tra$ and the picture of $Amit{\bar{a}}yurdhy{\bar{a}}na$ $S{\bar{u}}tra$ put huge emphasis and drawn without an exception, were hard to find among the temples surveyed. This means that previous idea that a pond was an indispensible part in the temples of the Pure Land School needs to be corrected.

본 연구는 신라시대 이래 일반 민중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컸던 경전 속의 땅 극락정토가 사찰에 어떠한 모습으로 현현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극락정토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 본 논문의 성격을 분명히 하였으며, 정토사상의 소의경전인 관무량수경에서 설해지고 있는 극락정토의 7가지의 경관상과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한 관경변상도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해석하였다. 다음으로는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에서 정토사상에 근거하여 지어진 정토계(미타계) 사찰에서 극락정토의 수승한 경관이 어떻게 현현되었는지를 규명하는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한국의 정토계 사찰에서는 관무량수경에서 관한 극락정토의 수승한 경관을 실제 사찰의 경관으로 현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사찰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경관요소나 경관성은 한국의 사찰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일 수도 있어서 관무량수경의 내용이 정토계 사찰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현상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그렇지만 부석사와 용연사에서 발견되는 서방에 대한 의미 부여, 여러 사찰에서 나타나는 계류에 놓인 다리의 명칭, 석단이나 계단에 적용된 법수, 누각의 명칭 등은 관무량수경의 내용을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정토계 사찰이 가지는 독특한 현상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특별히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관무량수경이나 관경변상도에서 적극적으로 강조되고 있고, 또한 빠짐없이 표현되고 있는 연지는 그 사례를 연구대상사찰에서 찾아보기 어려워, 지금까지 정토계 사찰에서 연지가 예외 없이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은 수정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균(2007). 정토사상에 있어서 본원사상. 서울: 여래장.
  2. 국립중앙박물관(2010). 고려불화대전도록.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88.
  3. 김기수(2001). 무시선법의 연구: 진공묘유와 정토극락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동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봉렬(1989).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교리적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봉렬, 이광로(1988). 극락정토신앙과 정토계사찰의 가람구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4): 63-72.
  6. 라정숙(2010). 고려시대 정토신앙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류용범(2010). 아미타정토 염불왕생에 대한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76). 불국사복원공사보고서. 경주: 광명인쇄공사. p. 64.
  9. 민경현(1987). 정토사원의 경관구성과 조원수법: 계조암의 정토현을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2(6): 113-131.
  10. 백암산 정토사 사적.
  11. 불교교재편찬위원회(1997). 불교사상의 이해.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pp. 244-246.
  12. 신증동국여지승람.
  13. 안계복(1999). 안압지 경관조성의 배경원리에 관한 연구(1). 한국정원학회지. 17(4): 57-71.
  14. 오윤경(2002). 원효의 정토사상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준(2001). 돈황벽화에 나타난 극락정토. 한국돈황학회지. 제3집: 35-46.
  16. 이태원 역(1995). 정토삼부경개설. 서울: 도서출판 운주사. pp. 432-447.
  17. 한태식(2010). 서방극락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서울: 여래장.
  18. 홍광표(1994). 불국사 연지에 관한 일고찰. 한국정원학회지. 12(2): 75-82.
  19. 홍광표, 이상윤(2001). 한국의 전통조경.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p.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