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세립분 함량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egregation Sedimentation for Dredged Soil Depending on Fines Content

  • 박민철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종경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신효희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송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1.03.07
  • 심사 : 2011.05.11
  • 발행 : 2011.06.01

초록

준설매립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해안 지역 준설토는 일반적으로 조립분 함량이 높다. 이 지반을 펌프로 준설 시 토출구의 위치 및 흙의 공학적 성질에 따라 다른 거동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립분 함량 변화에 따른 준설토의 분리 퇴적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사의 법칙을 적용하여 길이 2,650mm, 폭 770mm, 높이 735mm의 모형토조장비를 제작하여 SM과 ML시료로 단계투기방법과 함수비 300%, 500%, 700%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ML시료는 초기함수비가 높을수록 침강완료시간에 빨리 도달하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침강시간은 길어졌다. SM시료는 확산거리 120cm까지 조립토의 거동을 보이며 그 이상의 확산거리에서는 세립분의 영향으로 ML시료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함수비와 세립분 변화 역시 ML 시료는 심도가 낮아지고, 확산거리가 멀어질수록 통과율이 커지고 함수비는 작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SM시료는 확산거리가 가까운 구역에서는 조립토가 쌓여있고 먼 구역에서는 세립토가 쌓여있어 두 시료의 경계지점인 120cm~160cm을 기준으로 세립분 함유량과 함수비의 큰 차이가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단강도는 확산거리에 따라 ML-최대 2.97kPa, SM-최대 10.2kP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in progress at the West Coast has a high content of coarse particles. There will be differ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outlet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when its ground is dredged by a pump. Therefor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at were manufactured about the chamber equipment of length 2,650mm, width 770mm, height 735mm, experimented step filling method and water content about 300%, 500% and 700% respectively with SM and ML samples in order to realize segregating sediment characteristics of dredged ground with changing much fine. With results of analysis, ML sample by higher initial water content was reached to the period of complete sedimentation and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consolidation increased with increases of diffusion distance. SM samples showed behavior of coarse soil with diffusion distance 120cm, diffusion distance of more than 120cm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ML sample under the influence of fines. In ML sample, it could be also found that lower depth and the more increasing diffusion distance increase in percentage of sieve #200 but water content decreases. In SM sample, it could be also found that coarse soil was piled at near the diffusion distance zone but fine soil was piled at the far diffusion distance zone and prominent difference showed between percentage of sieve #200 and water content(%) by boundary point 120cm~160cm of both samples. Also, shear strength was expressed ML-maximum 2.97kPa, SM-maximum 10.2kPa with diffusion dist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삼, 조용기, 송정락, 정승용(1995), 준설 시 매립층의 퇴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457-460.
  2. 김형주, 이민선, 이용주, 김대우(2003), 준설토의 체적변화 및 2차원 퇴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22, No. 4, pp. 155-165.
  3. 심민보(2001), 준설토의 침강 및 자중압밀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 41-42.
  4. 이송, 양태선, 황규호(1994), 준설매립 연약지반의 자중압밀 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14, No. 4, pp. 953-964.
  5. 이송, 전종구(2002), 조립토가 혼합된 준설토의 퇴적 및 압밀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18, No. 2, pp. 75-86.
  6. Imai, G.(1984), Applicability of Hydraulic Consolidation Test for Very Soft Clayey Soils, Soils and Foundations, Vol. 24, No. 2, pp. 29-42. https://doi.org/10.3208/sandf1972.24.2_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