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parison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in Traditional Streetscap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 Focused on Insadong Seoul and Xintiandi Shanghai-

한·중 전통을 주제로 한 가로경관색채 비교연구 - 서울 인사동, 상해 신천지(新天地)를 중심으로 -

  • Shu, Joo 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Art & Design, Kyung-Hee University) ;
  • Zhu, Li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서주환 (경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주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1.07.21
  • Accepted : 2011.09.1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the modern urban landscape design,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are drawing more and more attention in addition to the factor of beauty. To evaluate an urban landscape design, it's quite important to explore the history and culture background of the city. Color of a city reflects the city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city image. Color planning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city landscape design nowadays. A harmonious landscape cannot be without a unified color planning. The color planning should take not only the integrity but also the regionality into consideration. Color planning has a profound impact on public life. This paper studies on streetscape color of two famous places which are Seoul Insa-dong and Shanghai Xintiandi.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d comparative study, this paper will give on-site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Furthermore, this paper will indicat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the traditional Streetscape of South Korea and China, using the color theories of Korea Image Resource Institute. This survey results will be helpful to the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본 연구 대상지는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상징해 줄 수 있는 공간인 서울 시 인사동과 중국의 역사적 가치가 많이 나타나는 전통거리인 상해 시 신천지를 선정하였다. 경관구성요소인 건축입면, 옥외광고물, 바닥포장, 가로시설물을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정량적 색채 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체적으로 인사동의 색상은 Y(Yellow), YR(Yellow)계열에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는 것에 비하여, 신천지는 무채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색조에서는 인사동의 경우 Dk(Dark) 색조의 사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신천지는 고명도인 P(Pure), L(Light) 색조와 중명도, 저채도인 Gr(Grayish) 색조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색채 특성을 종합해 보면 전통적 의미의 상징보다는 도시 전체적 이미지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통해 향후 양국의 도심지 가로경관의 색채특성에 개선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 전통적 가로경관의 배색 차이점은 두 나라 건축공간의 배경, 나아가서 양국 문화의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추후 이러한 비교연구가 더욱 폭 넓게 진행된다면 현대적 문화표현을 이해하는 데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미영(2006). 도시건축의 장에 관한 연구를 통한 인사동 복합문화센터 계획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4-31.
  2. 김순영(1999). 도시 환경개선을 위한 보행자 가로의 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0-33.
  3. 전영욱(2010).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가로환경 색채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3-90.
  4. 문석준, 박철민(2003). 도시가로변 건축물 외부색채의 현황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첨단기술연구소. 14(2): 196-205
  5. 최용운(2009). 서울시내 상업의 업종별 간판색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3-20.
  6. 임섬, 강양석(2009). 서울시내 상업가로의 색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4(5): 59-70.
  7. 김종하, 김성화(2001). 대구시 대표가로경관의 색채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5(2): 47-55.
  8. 이현수(2006). 도시색채 이야기. 도시출판. pp.158-171.
  9. 제 38차 서울특별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2002). 인사동지구단위계획.
  10. 서울특별시(2001). 서울시 도심재개발기본계획.
  11. 국토해양부(2002). 국토계획법, 제 52조 지구단위계획. 국토해양부.
  12. 上海市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会(2002). 上海市历史文化风貌区和优秀历史建筑保护条例. 第二十四条.
  13. 尹思谨(2004). 城市色彩景观规划设计. 东南大学出版社。
  14. 焦燕(2005). 当代中国大城市居住建筑色彩的现状与分析, 以北京, 上海, 广州, 深圳, 香港等五个城市为例. 城市住宅. pp.32-34.
  15. 日本カラ-デザイン研究所(2008). 地域イメージを活かす景観色彩計画. 学芸出版社(京都). pp.24-37.
  16. 小林重順, 日本カラーデザイン研究所(2001). カラーイメージスケール改訂版. 講談社.
  17. 上海新天地http://www.xintiandi.com
  18. 인사동관광정보센터 http://www.insainfo.or.kr/
  19. 인사동문화 http://www.goinsado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