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the mentee'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과 신입생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티의 경험의 의미

  • 서혜정 (제주한라대학 유아교육과) ;
  • 원계선 (제주한라대학 유아교육과) ;
  • 임진형 (제주한라대학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0.02.28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meaning of the mentee'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freshmen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ntee's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mentee'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a mentor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3 freshme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a three-year junior colleg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journal, open questionnaire, interview from March 21st to September 9th in 2010. The data was analyzed by segmenting, primary coding and depths coding. At the first session the mentees experienced complicated feelings, expect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eir mentors and acquired a lot of information from the mentoring program. Through the whole program mentees learned and executed many things: a time management, a good presentation skill, a reference searching way, preparation for exam, and career management. However, they felt sorry for that there was not informal meeting with their mentors. They thought the experience lucky, which is very difficult to have. So they want to give the experience back to their mentors and future mentees. They suggested advanced 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ir experiences as well.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멘티인 신입생의 경험과 그 의미를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1학년 13명이었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2010년 3월 21일에서 2010년 9월 9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수집한 자료는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멘티들이 기록한 저널, 서술식 질문지, 면담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세그멘팅, 초기 코딩, 심층 코딩의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멘티들은 첫 만남에서 독특한 경험과 감정, 관계형성에 대한 기대감, 멘토로부터 얻는 다양한 정보들을 경험하였고, 전체 프로그램에서 시간관리, 발표 방법, 자료 찾는 방법, 시험 잘 보는 요령, 진로설계 등을 배우고 실천하였다. 그러나 멘토들과의 사적인 만남이 없어 아쉬웠다는 경험도 이야기 하였다. 멘티들은 이러한 멘토링 경험을 인생에서 좀처럼 만나기 힘든 행운이라 생각하게 되어서, 이후 자신이 받은 것을 멘토, 예비 후배와 나누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한편으로 멘티들은 멘토와의 관계 교류 보강을 포함하는 더 진보된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제주한라대학

References

  1. 고영미 (2010).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실습지도교수와 예비교사 간 e-멘토링 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30(1), 447-472.
  2. 김남연, 류혜숙 (2007).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과정의 어려움. 유아교육논문집, 11(4), 363-387.
  3.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4. 김재철, 성경주 (2009).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활동의 실태현황, 기대효과 및 활성화 방안. 교육연구, 16, 97-118.
  5. 김정주, 장정애 (2007). 실습기간동안 이-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경험과 변화과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69-97.
  6. 김지응 (2008). 대학생들의 멘토링 기능이 대학생활적응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외식전공 학생들의 Mentor에 대한 신뢰에 따른 차이비교를 중심으로. 외식경영학회, 11(2), 77-101.
  7. 김헌수, 장기명, 이난 (2004)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 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1), 261-278.
  8. 박성미 (2006).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수산 해양교육연구, 18(1), 49-57.
  9.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 교육연구, 15(1), 361-391.
  10. 서혜정, 원계선, 임진형 (2010).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201-230.
  11. 송정원, 이현정, 이대균 (2007). 2,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과정의 질적 고찰: 신입생이 인식하는 학과의 문화적 특성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75-401.
  12. 신현정, 유형근, 조용선 (2007). 전문계 고등학교 부적응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진로멘토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7(2), 189-206.
  13. 유수경, 황해익 (2010).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221-255.
  14. 이성희 (2006). 멘토링 프로그램이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12(2), 247-254.
  15. 이종연 (1995). 생활지도의 한 방안으로서의 멘터링 프로그램의 효율성. 전북대 학생 생활연구, 53-71.
  16. 이현순 (2009). 멘토링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영유아교육연구, 12, 113-125.
  17. 정명화, 신경숙, 박성미 (2005).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교육학연구, 43(1), 1-24.
  18. 한국철학회편 (1995). 문화철학. 서울: 철학과현실사.
  19. 한순미 (2004).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습 성취 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1), 329-350.
  20. 한준상 (2001). 학습학. 서울: 학지사.
  21. Chen, C. (2008). Mentoring as a Learning Relationship: The Mentee'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42-57.
  22. Rosaldo, R. (2002). Culture & Truth. 문화와 진리(권숙인 옮김). 아카넷(원판 1989).
  23. Tashakkori, A. & Teddlie, C. (2001). Mixed Methodology: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통합연구방법론(염시창 옮김). 서울: 학지사 (원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