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등학교 직업과정 위탁 운영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Analysis on the actual state and plan for improvement for vocational courses are operated consignment in General high school

  • 투고 : 2011.07.31
  • 심사 : 2011.09.23
  • 발행 : 2011.09.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각 시 도별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 운영 현황과 실태 분석을 통하여 일반고등학교 직업 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고등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운영 방향으로는 일반고 직업과정 운영 목적에 부합하는 학생을 선발하는 것으로서, 학생 선발할 때 정확한 홍보와 진로 지도가 필요하며, 일반고 직업 과정 담당교사가 직업 과정의 운영 취지를 올바로 인식하고, 학생 진로지도와 직업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시 도교육청 차원에서 체계적인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고 직업 과정 대상 학생이 소속교(원적교) 에서 이수 하여야 하는 교육과정에 대해 학교 교육계획서에 명시하여 실천할 필요가 있으며, 일반고 직업 과정 학생은 별도의 학급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상 인원이 소수일 경우, 권역별로 1학급을 만들어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위탁 교육 기관의 주요 실적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 선발 시 홍보 자료로 대학 진학률 보다는 취업률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 및 학부모에게 일반고 직업 과정의 목적과 취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산업(정보) 학교에서는 취업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취업 담당자(산학협력 코디네이터) 등을 배치하여, 취업 경로와 산업체를 확보하고 산업체의 요구와 학생이 희망하는 근무조건 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며, 산업체 대학(2년제) 산업(정보) 학교의 협약을 통하여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적극 홍보 활용하기를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일반고 직업 과정 코스의 신설 및 폐지에 있어, 일부 인기 코스의 경우 오히려 취업과 거리가 먼 경우가 있으므로, 코스를 신설하거나 폐지할 경우 변화하는 산업사회의 수요를 반영하고 취업과 연결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위탁 교육 기관에 대한 체게적인 질 관리 측면에서, 산업(정보) 학교와 공공 직업훈련 기관이 민간 직업 전문학교이나 학원에 비해 우수하다. 그러나 전국의 16개 시 도 중 대도시를 중심으로 5개 시에만 산업정보학교가 있다. 일반고 직업 과정이 지속적으로 수요가 예상되는 시 도의 경우, 운영면에서 여러 가지로 비교 우위에 있는 산업정보 학교의 신설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vocational courses in general high schools in each city in order to operate efficiently. Provinces operating status and the general high school vocational courses through the regular high school vocational courses siltae analysis to identify operational problems, and that is to derive ways to improve. Operating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typical high school vocational courses ilbango select students that meet the purpose of operating as one that students admit you need the correct promotion and career guidance and vocational courses ilbango teachers of vocational courses is operating correctly recognize the purpose and students with career guidance and vocational courses so that you can operate effectively at: Provincial Office-wide need to conduct a systematic study. Vocational courses also target students ilbango sosokgyo (wonjeokgyo) to be completed in the course stated in the plan for the school and the need to practice, and professional students ilbango by configuring a separate class is most preferable to operate. If the person is prime target, with each region run by creating a class needs to definitely consider. Entrusted to the agency's key performance improv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in the direction of promotional materials for the students selected to take advantage of college enrollment than the employment data for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lbango vocational courses for the purpose and inten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employment rate is relatively low industrial (information) to install the school department employment, and employment representatives (industry-academia co-coordinator), and by placing career paths and industries to ensure the needs of industry, including working conditions and students who wish adjusting to the role, and industrial college (2 years), industrial (information) through the school's agreement to the aggressive promotional schemes seonchwieop hujinhak. Getting the need to encourage. Vocational courses ilbango in the new and the abolition, rather than the case of some popular course when you are away from work and there, so if the course-changing industry, new or repealed to reflect the demands of social work and careful review of how to connect carefully to decide by. Commissioned a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in education, in terms of industry (information) schools and publ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r private vocational school is better than school. However, 16 cities across the country. Also only five of the major cities around the school has industry information. Ilbango vocational courses at the expected continued demand. Degrees, the operation in terms of comparative advantage in many ways the school's new industry information is necessary to conside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종.박태준.김수원.김진구(2002). 산업정보학교 개편 및 신설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교육과학기술부(2006). 실업계 고교 학생 현황 및 인문계 고교의 직업반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수월성 재고를 위한 고등학교 운영 개선 및 체재 개편 방안
  4. 박동열.김태운 (2007). 2007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백남석.양원영 (2003). 산업정보학교에서의 일반고교 위탁직업과정 운영 발전 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1). 60-70.
  6. 부산광역시교육청 (2006). 2006학년도 일반고교생 직업교육 운영
  7. 부산광역시교육청 (2010). 2010학년도 일반고교 위탁직업과정 위탁 교육 운영 계획
  8. 부산정보산업고등학교(2009). 2009학년도 교육과정 운영계획
  9. 서울특별시교육청(2006). 2006학년도 일반고교생 직업교육 운영
  10.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2010학년도 일반고교생 직업교육 운영계획
  11. 서울정보산업고등학교(2009). 2009학년도 교육과정 운영계획
  12. 인천광역시교육청 (2010) .2010학년도 일반고 위탁직업과정 위탁 교육 운영 회의자료
  13. 옥준필.손희전.배동윤.박자영 (2008). 2008년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충청북도교육청 (2009). 2010. 일반계 고등학교 위탁직업과정 운영 계획(안)
  15. 한국교육개발원 (2008). 교육통계연보,한국교육개발원.
  16. 한국교육개발원 (2009). 교육통계 연보, 한국교육개발원.
  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 2000년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6). 2005년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 국가교육통계정보센터. http:// std.kedi.re.kr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