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forest tending on Landslide

숲가꾸기가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

  • Youn, Ho Joong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Woo, Choongshik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Chang Woo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윤호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우충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 이창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Received : 2011.05.02
  • Accepted : 2011.07.0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In general, forest tending work contributes to preventing landslides by enhancing forest health. In order to quantify beneficial effects of forest tending, landslide occurrences in forest tending area and those in non-forest tending a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landslide had been hit hard in Inje and Pyeongchang county, Gangwon province, following Typhoon 'Bilis' on July 15, 2006. Data on forest tending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tands were acquired from the Inje National Forest Station, North regional forest service. The rate of landslide occurrence was increased sharply just after forest tending work and was decreased as time goes by.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the change in landslide frequency was slight by age class in the non-forest tending area, while it decreased as age class increased in the forest tending area.

숲가꾸기를 하여 산림건강성을 증진시키면 산사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식이다. 이를 객관화시키기 위해 GIS를 이용하여 숲가꾸기와 숲가꾸기 하지 않은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발생개소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2006년 7월 15일 인제군에서 태풍 '빌리스'의 영향으로 발생한 산사태 집중지역이며, 인제 국유림관리소에서 획득한 숲가꾸기 자료를 이용하였다. 숲가꾸기 직후에는 산사태 발생이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숲가꾸기를 실시하지 않은 지역은 영급에 따른 산사태 발생변화가 작지만 숲가꾸기를 실시한 지역은 영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하, 전재홍, 유재윤, 정용호, 최형태. 2007. 녹색댐 기능 증진을 위한 숲가꾸기 효과. 국립산림과학원.
  2. 김동엽. 2009. 수직 뿌리보강모형을 이용한 낙엽송과 잣나무 뿌리의 토양보강 효과 추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북부지방산림청. 2007. 2006년 수해복구백서. pp. 239.
  4. 산림청. 2006. 2006년 산지토사재해 특성 파악 및 영향 인자 분석.
  5. 산림청. 2009. 2008년 간추린 임업통계.
  6.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200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pp. 289.
  7. 오정수, 김석권, 배상원, 이성연, 정세경, 임주훈, 손영모. 2005.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 표준매뉴얼. 국립산림과학원
  8. 우충식, 윤호중, 이창우, 정용호. 2008.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영향인자 분석 -강원도 평창군을 중심 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1): 14-22.
  9. 윤호중, 이창우, 우충식, 정용호, 이천용. 2009. 토석류 발생특성과 피해규모 예측기법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pp. 14-15.
  10. 이사로, 지광훈, 박노욱, 신진수. 2001.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자원환경지질 34(2): 205-215.
  11. 이상민, 장철수, 김경덕. 2008. 목재의 수급모형 구축 및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 115.
  12. 정참상. 2009.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패턴 변화. 방재연구지 11: 68-77.
  13. 최 경. 1986. 한국의 산사태 발생원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강원대 박사학위논문.
  14. 최 경. 1998. 사방기술교본. 산림청. 416-417.
  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인제도폭 지질조사보고서.
  16. 竹下敬司, 中尾博美, 綿引靖, 丸谷知己, 森田紘一, 池本濟, Nurdin Muhammad, 長澤喬. 1992. 材木根系の實體とそれに基づく崩壞防止機能の檢討. 九州大學農學部演習林報告 66: 83-129.
  17. 長野縣 林務部. 2008. 災害に强い森林づくり指針. pp.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