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우석대학교
References
-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2-36.
- 고연희(2003). 소상팔경,고려와 조선의 시.화에 나타나는 수용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9: 217-243.
- 기꾸치 도시오, 윤정숙 역(1995). 역사지리학방법론. 서울: 이회문화사.
- 김기혁(2007). 지역문화 연구 자료로서 고지도 및 지리지. 정신문화연구. 30(3): 119-142.
- 김기혁, 임종옥(2008). 지리학에서 지명 연구 동향.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서울 푸른길: p15.
- 김동찬, 민경숙(2003). 충청북도 八景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2): 30-39.
- 김동필, 이기철, 靑木陽二(1997). 한국과 일본의 팔경의 변화과정에 관한 기초적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 49-57.
- 김선일(1992). 關東八景의 景觀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하, 배현미(2006). 현대팔경의 선정특성에 따른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1(2): 179-189.
- 김지희(2006). 조선시대 漢江圖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재현(2007). 丹陽八景의 活人性과 景勝形象化展開樣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75-93.
- 노재현(2008a). 端宗哀史의 後光效果를 적용한 영월팔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36(3): 63-74.
- 노재현(2008b).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含意. 한국조경학회지. 36(1): 90-102.
- 노재현(2009). 瀟湘八景, 전통경관 텍스트로서의 의미와 결속구조. 한국조경학회지. 37(1): 100-119.
- 노재현(2010). 부여 팔경으로 본 백제 사비시대 장소와 경물의 懷古慣性.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4-28.
- 노재현, 박율진, 김형률(2008). 배산 연주정 12경의 경관상과 표현미학적 특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19.
- 노재현, 신상섭, 조찬문(2007). 팔경 구조분석을 통해 본 전통문화경관 조망권역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11-23.
- 大東地志(2004). 이회문화사.
- 동아출판사(1967). 사진화보판 20세기한국대관. 서울: 동아출판사.
- 송민정(2009). 현대 팔경의 유형과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상섭, 노재현(1999). 景觀正體性 향상을 위한 전주팔경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4): 25-35.
- 신상섭, 노재현, 한광수(2005). 전통경관 정체성 진단을 통한 역사문화 경관 탐방 네트워크 개발: 전주팔경권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90-100.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7. 驪州牧(1971). 민족문화추진위원회.
- 안장리(1996). 韓國八景詩硏究: 淵源과 展開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안현경(2010). 대구.경북지역 팔경자원의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자원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 분석.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휘준(1988). 한국의 소상팔경도 연구. 한국 회화의 전통. 서울: 문예출판사. pp. 175-249.
- 양보경(2009).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문화역사지리. 21(1): 95-104.
- 여기현(2002). 소상팔경의 수용과 양상. 중국문학연구. 25: 305-326.
- 여주군(1989). 여주군지.
- 여주군(2008). 남한강 여주소식. 제70호(3/10일).
- 여주군사편찬위원회(2005). 여주군사.
- 여주문화원(2004). 여강 한구비 산이 그림같으니: 옛 선조들이 남긴 여주의 제영.
- 輿地圖書 여주목읍지.
- 이보라(2005). 朝鮮時代 關東八景圖의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보라(2007). 관동지역의 팔경화 시기 연구. 忠北史學. 18: 431-453.
- 이상아(2008). 조선시대 팔경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진호(2008). 驪州 地域 八景詩의 傳統 考察. 여주대학교 논문집. 16(2): 85-100.
- 이태형(2010). 이곡과 정포의 사(詞)에 투영된 "蔚州八景"형상 考. 선도문화. 9: 545-583.
- 이행렬(2006). 韓山八詠에 나타난 문화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4(3): 23-38.
- 李賢九 편역(1991). 驪江詩軸. 여주신문사.
- 장동수(2006). 경기도 여주군 八大長林 복원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78-84.
- 전경원(2006). 소상팔경시의 형상화 양상과 의미맥락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기호(2002). 봉미산 신륵사의 종합적 고찰: 신륵사의 입지성. 寺刹造景硏究. 9: 19-46.
- 정기호, 김묘정, 이원호, 최종희(2009). 동국여지승람에 기술된 읍치팔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25-135.
- 조성문(2004). 청기정십영. 옛 선조들이 남긴 여주의 제영 추가자료.
- 조성문(2008). 팔대수와 청심루의 문화생태적 고찰: 한시를 중심으로, 팔대수. 청심루. 양섬 복원을 통한 문화생태자원의 발굴과 보존방향 워크샵 자료. 여주의제 21.
- 조성문 편역(2006). 여강 청심루. 여주문화원.
- 진희성, 노재현(1991). 팔경의 의미체험에 따른 풍경 개념의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1): 131-143.
- 최기수(1989). 곡과 경에 나타난 한국전통경관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원석(2000). 우리땅 풍수기행. 서울: 시공사.
- 최지연, 이익수(2007). 고지도를 활용한 도시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0): 274-28.
- 홍광표(2002). 봉미산 신륵사의 종합적 고찰: 神勒寺공간구성의 원형 해석. 寺刹造景硏究. 9: 47-59.
- http://100.naver.com/100.nhn?docid=716497
- http://land.culturecontent.com/contents.asp?cid=2&doc=02
- http://people.aks.ac.kr/front/tabCon/exm/exmView.aks?category=dirSer&exmId=EXM_KM_5COb_9999_000792
- http://www.yeojucc.co.kr
- http://www.yj21.net/cms.asp?intMenuIdx=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