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eriodical Formation and Phase of Change of Cheongpyeongsa Temple Zen Garden

청평사(淸平寺) 선원(禪園)의 시대적(時代的) 형성(形成)과 변천상(變遷相)

  • Yoon, Young Hwa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01.2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Cheongpyeongsa Temple was originally built in the early years of Goryeo Dynasty, but its current structural framework was made by the Lord Jinrakgong Lee Ja Hyeon(1061-1125) of the middle Goryeo period based on the Zen thought after he began living in the Cheongpyeong mountain around the temple in 108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based on old documents, historical changes of the appearance and survival of man-made structures with in the Zen garden formed and developed after Lee Ja Hyeon laid the foundation for Munsuwon Zen garden. Among the eight, outside-the-temple hermitages built at the time of Lee Ja Hyeon's Munsuwon Zen garden, only three hermitages, which are Sik-am, Gyeonseong-am, Yangshin-am had been remaining thanks to restoration and repair until late Joseon Dynasty and preserved as symbolic hermitages. Also, the Yeongji Pond built at the time of Lee Ja Hyeon still remains as precious landscape relics which is meaningful as a genuine Goryeo-period pond. The nine pine trees said to be planted by Lee Ja Hyeon remained until middle 1800s through their descendant trees. When the Buddhist monk Bowoo Daesa(1509-1565)changed the name to Cheongpyeongsa Temple in middle Joseon based on the Munsuwon Zen garden built by Lee Ja Hyeon and greatly expanded it, he newly built and expanded all buildings inside the temple except for Neunginjeon(main temple building), resulting in the present temple structure. In addition, by greatly enhancing the level of scenery by reconstructing Yeongji Pond outside the temple area and transplanting garden plants from the royal court, he made Cheongpyeongsa Temple the most prosperous Zen garden in its history. But after the mid-1800s, which is late Joseon period, Cheongpyeongsa Temple failed to thrive further and began to decline, and so currently most buildings of the Zen garden have disappeared except for some parts of the temple and other facilities are neglected.

청평사는 고려 초 창건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공간의 틀은 고려 중기 진락공 이자현(1061-1125)이 1089년 입산해 선사상을 바탕으로 구축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자현이 청평사의 기반을 구축한 문수원 이후 형성, 발달했던 선원 내 인공유적의 출현과 존속의 시대사적인 변천과정을 고문헌을 근거로 하여 개념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자현의 문수원 때 조성된 경외 8암자 중 식암, 견성암, 양신암 등 세 암자만이 조선 후기까지 복원, 수리를 거쳐 건재하며 상징적 암자로 보존되어 왔다. 또 이자현 때 조성된 영지도 고려시대 연못의 원형적 의미를 지닌 소중한 조경유적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자현이 식재했다는 구송은 후계수를 이어가며 1800년대 중반까지 살아있었다. 조선 중기 보우대사(1509-1565)는 이자현이 구축한 문수원을 기반으로 청평사로 개칭하고 중창하면서 경내를 능인전(대웅전)만 제외하고는 모두 새로 짓고 확장하여 현재와 같은 경내 공간구조로 만들었다. 또 경외 영지의 개축, 궁원으로부터의 조경식물 이식 등 경관의 질을 한층 높여 청평사를 역대 가장 번성한 모습의 선원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중반 이후 청평사는 더 번성하지 못하고 쇠락의 길로 접어들면서 선원의 건축물은 경내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소멸되고 기타 시설물들은 방치된 채로 현대까지 남아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강원대학교

References

  1. 關東誌 影印本(1986). 邑誌:江原道篇(1). 서울: 亞細亞文化社.
  2. 關東邑誌 影印本(1986). 邑誌:江原道篇(2). 서울: 亞細亞文化社.
  3. 金富轍 影印本(1919). 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朝鮮總督府. 朝鮮金石總覽上
  4. 金孝印 影印本(1919). 寶鏡寺圓眞國師碑. 朝鮮總督府. 朝鮮金石總覽上.
  5. 김흥삼(2004). 청평사의 문화사적 위상. 동양철학회 동계학술자료집. p.15.
  6. 金孝印 影印本(1919). 寶鏡寺圓眞國師碑. 朝鮮總督府. 朝鮮金石總覽 上.
  7. 대동문화연구원(1973). 破閑集. 高麗名賢集2. 성균관대학교.
  8. 普雨思想硏究會(1993). 虛應堂集. 虛應堂普雨硏究. 제주도: 佛舍利塔.
  9.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77). (국역)동문선. 서울: 경인문화사.
  10.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89). 梅月堂集. 韓國文集叢刊 13.
  11.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0). 八谷集. 韓國文集叢刊 40.
  12.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1). 淸陰集. 韓國文集叢刊 77.
  13.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1). 西河集. 韓國文集叢刊 編輯1.
  14.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4). 久堂集. 韓國文集叢刊 121.
  15.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4). 愚潭集. 韓國文集叢刊 126.
  16.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6). 農巖集. 韓國文集叢刊 162.
  17.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6). 국역 다산시문집. 고전국역총서 235.
  18. 民族文化推進委員會(1999). 국역 임하필기7.
  19. 民族文化推進委員會(2002). 雲石遺稿. 韓國文集叢刊 299.
  20. 文集編纂委員會(1988). 懶庵雜著. 韓國歷代文集叢書 202. 서울: 景仁文化社刊.
  21. 백련선서간행회(2006). 설봉록. 선림고경총서19. 서울: 장경각.
  22. 徐宗華影印本(1861). 藥軒遺稿. 서울대 奎章閣 古 3428 783 00.
  23. 成海應影印本(1909). 東國名山記. 서울: 日韓書房.
  24. 宋枏壽影印本(1995). 海東山川錄 대전: 恩津宋氏松潭公宗中.
  25. 신규탁(2004). 이자현의 선사상. 동양철학회 동양철학연구. 39:216-229.
  26. 嚴愰 影印本(1897). 春川邑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귀 K2-4319.
  27. 輿地圖書(1973). 江原道編. 國史編纂委員會.
  28. 윤영활, 김흥삼, 한재오(2005). 청평사 선원의 고문헌적 고증 연구(1). 한국전통조경학회지.23(3):1-12.
  29. 윤영활, 김흥삼, 한재오(2005). 청평사 선원의 고문헌적 고증 연구(2). 한국전통조경학회지.23(4):57-72.
  30. 윤영활(2006). 청평사 원림의 경처와 경관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24(3):1-13
  31. 윤영활(2009). 청평사. 빛깔있는 책들 272. 서울: 대원사.
  32. 尹鑴 影印本(1974). 백호문집간행회.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33. 이상수(1988). 慶雲山과 淸平寺. 淸平山感懷擬古. 춘천문화원. 春州文化.3:30
  34. 이애희(2008). 고려 중기 이자현의 능엄선 연구. 한국공자학회 동계 세미나.p.10.
  35. 이익성 역(1971). 택리지. 서울: 을유문화사.
  36. 조용현(1996). 이자현의 능엄선 연구. 한국종교학회. 종교연구. 12:132-149.
  37. 조유전, 장헌덕(1987). 청평사 영지 및 능인전 발굴조사. 문화재 20호. 112-136.
  38. 춘성군(1984). 청평사 실측조사 보고서.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39. 춘천시(2002). 청평사 회전문 수리실측보고서. p.39-40.
  40. 春川邑誌(純祖) 影印本(1997). 江原道邑誌 5. 서울대 奎章閣 17525.
  41. 한국문화상징편찬위원회(1995). 한국문화상징사전2. 서울: 동아출판사.
  42. 韓國文集編纂委員會(1988). 喚惺和尙行狀. 涵虛大師.喚聲大師文集. 韓國歷代文集叢書. 서울: 景仁文化社.
  43. 韓國學文獻硏究所 編.(1977). 楡岾寺本末寺誌. 서울: 亞細亞文化社.
  44. 韓國學文獻硏究所 編(1980). 有明朝鮮國喚惺大師碑銘. 大芚寺志. 서울: 亞細亞文化社.
  45. 홍성익(2004). 춘천 청평사 가람배치의 종합적 검토. 강원대학교 사학회지.19.20:2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