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하댐 설치 시 섬진강 하류 염수침입 방지 효과의 모델기반 분석

Effect of Underground Dam for the Prevention of Seawater Intrusion at the Seom-jin River

  • 투고 : 2011.05.02
  • 심사 : 2011.07.13
  • 발행 : 2011.08.01

초록

섬진강 하류지역은 1978년 이후 지속적인 하상 세굴로 인하여 염수 침입이 확대된 지역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설치 시의 염수침입 차단 효과를 수치모델로서 평가하였다. 현재 섬진강 하류 지표수의 염소이온농도는 상류로 가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지하수내 농도는 지표수의 1/10 이내로 나타난다. 하구로부터 4.6km 지점에 암반 상부로부터 25m 높이의 지하댐을 설치하는 조건으로 FEM 모델인 FEFLOW를 수행한 결과, 지하댐 상류의 퇴적 작용으로 현재보다 충적층의 두께가 5m 정도 두꺼워진다면 하구로부터 25km 지점에서의 염소이온농도(0.25psu)가 하류로 약 3km 정도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하댐 상류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을 경우에는 지하댐 설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Surface water at the lower part of the Seom-jin river has a high salinity because the erosion at river bottom has made sea water move upstream continuously since 1978. The effect of underground dam on the prevention of sea water intrusion was modelled in this study. Present chloride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decreases exponentially along a river and in groundwater is about one-tenth of surface water's. The finite element method model, FEFLOW, wa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ground dam with a height of 25m over a bedrock is located under a water surface at the site of 4.6km from an estuary. The result shows that the position with chloride concentration of 0.25psu moves downstream from the sites of 25km to 22km, if an enough sedimentation with 5m thickness happens in the upper reservoir of underground dam. On the other side, the underground dam is littl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sea water intrusion in case of non-sedim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3), 섬진강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pp. 111-155.
  2. 건설부(1978), 섬진강 하천정비기본계획, pp. 13-52.
  3. 건설부(1989), 섬진강 수계 종합정비계획, pp. 3-83-3-114.
  4. 국토해양부(2008), 한국수문조사연보; 수위편 2007, pp. 670-671.
  5.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2008), 해수침투조사 사업 보고서, pp. 1-549.
  6. 김천수, 김경수, 배대석, 송승호(1997), 임해지역 주변에서의 해수침투 특성,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Vol. 4, No. 2, pp. 61-72.
  7. 박화석, 김중휘, 염병우, 김준모(2008), 해수 침투에 대한 층상 불균질성 및 지하수 양수 방식의 영향 삼차원 수치 모의, 지하수토양환경, Vol. 13, No. 4, pp. 8-21.
  8. 심병완, 정상용, 김희준, 성익환, 김병우(2002), 지구물리 탐사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분석에 의한 부산 동남해안 지역의 해수 침투 특성, 지하수토양환경, Vol. 7, No. 3, pp. 3-17.
  9. 이봉주, 문상호(2008a), 시계열 및 요인분석을 이용한 해수침투 특성 평가: 서천-군산 지역, 대한지질학회지, Vol. 44, No. 2, pp. 219-232.
  10. 이봉주, 황세호(2008b), 지하수위 변동 특성에 근거한 해수침투 특성 평가: 영광 백수지역, 대한지질학회지, Vol. 44, No. 2, pp. 233-240.
  11. 조현조, 김준모(2009), 한국 부산광역시 수영구 지역 해안 대수층 내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에 대한 도시화의 영향 삼차원 수치 모의, 지하수토양환경, Vol. 14, No. 6, pp.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