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How to Improve of Building Waste Management Systems Using by 'BIM / GIS'

BIM/GIS을 활용한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미 (경북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손병훈 (대구공업대학교 건축설비소방안전계열) ;
  • 김영찬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1.05.31
  • Accepted : 2011.10.2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have been rapidly progressing in the world. Construction Industries discharge tones of wastes and consumes heavy resource as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other industries, so it is the main reason of increasing of the Earth's environment. In Korea, as people become aware of the need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s, they manage Allbraro system which is Total Management System in the wastes. Therefore, they promote the handling of standardized information, processing construction waste of transparency procure and promotion of the efficiency of task about the disposal of occurrence and movement of real-time construction waste. However, objective information for dismantling building did not construct in the organization of the system, so the emission of system randomly produces and discharges information of the waste. Because of that reasons, the exact value of waste abandonment is difficult to measure and recycling after waste disposal has the limit point. Therefore, in this study,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waste management system are analyzed, and we improved solution of construc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of the city when BIM / GIS are utilized.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나 자원고갈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그 중 건설 산업은 다른 산업의 생산 활동에 비해 막대한 자원 소비 및 대량의 폐기물을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부하를 증대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필요함을 인식함에 따라 폐기물 종합관리시스템인 올바로(Allbaro)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건설폐기물의 발생과 이동에 따른 처리에 대한 표준화된 정보처리 및 건설폐기물 처리의 투명성 확보 및 업무의 능률향상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시스템의 구성에서 해체 건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가 구축되지 않아 배출자가 폐기물에 대한 정보를 임의로 생산하고 배출함에 따라 정확한 폐기량을 파악하기 힘들고 폐기 후 재활용이라는 한계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BIM/GIS를 활용하였을 시의 건설폐기물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ityGML, http://www.citygmlwiki.org.
  2. Gerhard Grooger․Thomas H. Kolbe․Angela Czerwinski, 2007, "Candidate OpenGIS${\circledR}$ CityGML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OGC 07-062, OpenGeospatial Consortium Inc.
  3. IAI(International Alliance for Interoperability), http://www.iai-international.org.
  4. Jurgen Doollner.Thomas H. Kolbe.Falko Liecke.Takis Sgouros.Karin Teichmann, 2006, "The Virtual 3D City Model Of Berlin - Managing, Integrating and Communicating Complex Urban Information, 2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Data Management UDMS 2006 in Aalnorg, Denmark.
  5. NIBS(National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s) FIC(Facility Information Council), http://www.buildingsmartalliance.org.
  6.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2008, http://www.citygml.org Solibri, Inc., Solibri Model Checker, http://www.solibri.com.
  7. Thomas H. Kolbe, 2007, "CityGML Tutorial", 1st Joint Workshop on the Sino-Germany Bundle Project "Interoperation of 3D Urban Geoinformation" in Urumqi, China, 27th of August, 2007.
  8.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CADBIM Technology Center, http://www.erdc.usace.army.mil.
  9. Wu, I.-C. and Hsieh, S.-H., 2007, Transformation from IFC data model to GML data model: methodolofy and tool development, Journal of the Chinese Institute of Engineers, vol. 30, no. 6, pp. 1085-1090. https://doi.org/10.1080/02533839.2007.9671335
  10. 고일두 외, 2008, BIM으로부터 가상도시 구축용 건축물정보의 추출, 한국GIS학회지, vol. 16, no. 2, pp. 249-261.
  11. 국토지리정보원, 2006, "기본지리정보 사용자 가이드".
  12. 남기범 외, 2010, BIM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 추계학술대회 pp. 501-502.
  13. 박정대 외, 2007, CAAD와 GIS 데이터 상호운용을 위한 정보표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14. 박정대 외, 2009, BIM/IFC의 빌딩 프로덕트 모델에 대한 온톨로지 표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vol. 25, no. 5.
  15. 오충원, 2010, GIS와 BIM의 융합에 대한 연구, 지리학연구, vol. 44, no. 3, pp. 443-453.
  16. 조달청, 2010, 시설사업 BIM적용 기본지침서.
  17. 환경부, 2011,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 (2007년-2011년), p. 19-21.
  18. 환경부, 2010, 전국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9. 홍상기 외, 2009,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 4, pp. 19-27
  20. 3차원 국토공간 정보시스템 구축 보고서, 2009, 국토지리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