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motivational Attitudes, Use of Instructional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Successful Learning on Achievement in e-Learning Class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수업기능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조은순 (목원대학교 교직과) ;
  • 남상조 (목원대학교 서비스경영학부)
  • Received : 2011.10.13
  • Accepted : 2011.12.05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ers' self-motivational attitudes, use of instructional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successful learning on achievement in college e-learning classes. The study analyzed 297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 about their internet learning attitudes based on how they understand e-learning and use various internet functions for their learning achievement. After factor analyses,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were three major factors such as self-motivational attitude, use of instructional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successful learning out of 15 survey items.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self-motivational factor affects the learning achievement with overall three factors analys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e-learning classes should focus on the analysis of learners' self-motivational issues in college e-learning classe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e-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should be examined in the near future to show how it affects on learners e-learning class management and their achievement.

본 논문은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활동과 인터넷 수업기능의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정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이러닝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통하여 핵심변인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수업 시 자기주도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요인들이 학생들의 자발성(자기주도성), 인터넷수업기능 활용성, 학습에 대한 성공요인 이해정도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이 세 가지 요인변수들이 결과변수인 학생들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 자기주도적인 성향이 학습자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적인 인터넷 활용기능이나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정도보다 학생들의 자발적 수업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준비가 학습 성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대학의 이러닝 수업에서 교수 학습 전략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병로, 이준, "고등교육에서의 이러닝 콘텐츠 실태와 시사점",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277-307, 2007.
  2. Sloan Consortium, Making the grade: Onlin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2006.
  3. 류지헌, "대학의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른 만족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3호. pp.189-208, 2007.
  4. D. L. Kirkpatrick, Evaluation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Publishers, 1994.
  5. 김유진, "웹 기반 가상 연수의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6. 정인성, 최성희,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 분석",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pp.369-388, 1999.
  7. 조영만, "원격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L기업의 원격교육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8. 김효근, 곽소아, 서현주, "기업의 e-Learning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p.36-44, 2004.
  9. 정인근, 조정융, "e-Learning에서의 학습 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9, 2004.
  10.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평생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16권, 제1호, 2000.
  11.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 학습 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 제19권, 제3호, pp.41-68, 2003.
  12. 이웅규, 이종기, "e-Learning에서의 학습 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19, 2006.
  13. 이웅규, 이종기, "가상강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소와 자기효능감", 한국품질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57-364, 2004.
  14. 김현수, 최형림, 김선희, "가상교육의 핵심 성공 요인",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호, pp.241-264, 1999.
  15. 남상조, "직장인과 비직장인의 원격강의 수강참여 인식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5권, 제2호, pp.1-6, 2005.
  16. S. Z. Nam,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Distanc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6, No.1, pp.12-19, 2010. https://doi.org/10.5392/IJoC.2010.6.1.012
  17. 문숙경, 남상조, "이러닝수강생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7권, 제1호, pp.161-168, 2007.
  18. M. G. Moore, The Theory of Transactional Distance. In M.G. Moore (Ed.), The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Second Ed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89-108, 2007.
  19. B. J. Zimmerman,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In M. Boekaerts, P. R. Pintrich and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Academic, pp.13-39, 2000.
  20. 이종연,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콘텐츠 전달전략의 선택방안 :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0권, 제4호, pp.185-214, 2004.
  21. 이웅규, 이종기, "자기주도학습과 이러닝 학습 환경 만족 : 자기조절효능감에 의한 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27-143, 2006.
  22. L. M. Guglielmino, "Contribution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and the Learning Preference Assessment (LPA) to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World Confer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1997.
  23. L. M. Guglielmino and P. J. Guglielmino, Becoming a more self-directed learner: Why and how. In G. Piskurich (Ed.), Getting the most from e-learning, Jossey-Bass, 2003.

Cited by

  1. Effect of th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on Perceived Learning Transfer and Satisfaction vol.13, pp.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