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Shapes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and Frames of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삼강행실도의 만화칸과 칸 사이 형태 분석

  • 박경철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 Received : 2011.08.18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wa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period in 1434, relatively early days of comic history in the world.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have symbolic meaning as comics frames have in the area of symbols of comics. After comics frames appeared, it was likely that the advent of the gaps between frames had its own value in the aspect of comics history. Historical backgrounds of domestic comics would be built on firm base led by studying on the symbolic meaning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Two forms of the gaps between frames were shown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The first form is the gap between cloud frames. The second is the gap between cloud frame and background frame. Although a little difference is found in the shape and display, two forms of the gaps between frames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have a similarity to modern comics.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valid background for the domestic history of comics by means of analyzing the shapes of the gap between comics frames in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meaning of the shapes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focusing the gaps between frames among symbols of comics.

조선 시대 인쇄물인 삼강행실도는 세계 만화역사에서도 이른 시기인 1434년에 간행되었다. 삼강행실도에는 만화기호인 '만화칸'과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다. 만화기호인 만화칸의 상징성 못지않게 칸과 칸 사이도 만화기호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만화역사의 측면에서 보면 칸이 등장한 후,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 상징적 근거들을 찾아 밝힘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역사적 근거가 다져질 것이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칸과 칸 사이의 형식적인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구름칸과 구름칸 사이'이며, 두 번째는 '구름칸과 배경칸 사이'이다. 삼강행실도의 두 가지 유형인 칸과 칸 사이는 현대 만화와 비교할 때 모양이나 연출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칸과 칸 사이의 의미는 유사하다고 하겠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만화기호 중에서도 칸과 칸 사이에 초점을 맞추어,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증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스콧 맥클루드, 만화의 이해, 시공사, pp.68-101, pp.18-24, 2002.
  2. 로저 새빈, 만화의 역사, 글논그림밭, p.13, 2002.
  3. 박경철, "속삼강행실도의 만화칸 기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10호, pp.156-16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156
  4. 정우영, 역주 속삼강행실도, 한국문화사, p.318, 2008.
  5. 역주 김정수, 역주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2.
  7. 이원복, 회화, 솔, 2005.
  8. 윌 아이스너, 만화와 연속예술, 비즈앤비즈, 2009.
  9. 최정란, 조선시대 '행실도'의 목판화 양식에 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