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on the Field Education Outcomes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in Cyber University and Ordinary University Students

사이버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 및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최은희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1.09.05
  • Accepted : 2011.10.07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university and social welfare agency throug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field education outcomes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in cyber university and ordinary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field education outcome in cyber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ordinary university ones. Second, supervision and university element are meaningful factors to constituent variables of field education outcomes in participants, but major satisfaction is only important for ordinary university students. Third, professional identity is related to major satisfaction, supervision, and university element in cyber university students. But university element hasn't influence on professional identity in ordinary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supervisors have to give systematic instruction and do clear role model. Universities make an effort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as a pre-social worker.

본 연구는 사이버대생과 일반대생의 사회복지 현장실습성과와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여 현장실습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각 학교의 개입지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이버대생의 현장 실습성과가 일반대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이버대생의 현장실습성과에는 수퍼비전, 학교 요인이, 일반대생은 전공만족도, 수퍼비전과 학교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정체성에는 사이버대생의 경우 전공만족도, 수퍼비전, 학교요인이, 일반대생은 전공만족도, 수퍼비전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실습 수퍼바이저는 분명한 역할과 체계적인 지도를 제공하고, 학교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과 함께 예비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 사후실습지도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D. Collins, B. Thomlison, M. Richard, and J. Grinnell, "The social work practicum: A student guide," Peacok Pub, 1992.
  2. 강흥구, "사회복지실습 목표 달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9권, pp.1-21, 2009.
  3. 권현진, "사회복지전공학부생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 정수경,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실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327-355, 2003.
  5. 한주빈,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에 관한 연구-학교요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6. M. Bogo, R. Power, C. Regehr, J. Globerman, and J. Hughes, "Evaluating a measure of student field performance in direct service: Test 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xplicit criteria,"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8, No.3, pp.385-401, 2002. https://doi.org/10.1080/10437797.2002.10779106
  7. C. R. Boite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learning in field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Mandel school of applied social science,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2002.
  8. 장혜경, 유영준, "사회복지 현장실습의 실습성과와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25권, pp.273-297, 2008.
  9. 강희자, "사회복지 전공학생의 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0. A. E. Fortune, M. McCarthy, and J. S. Abramson, "Student learning process in field education: Relationship of learning activities to quality of field instruction, satisfaction, and per formance among MSW students,"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7, No.1, pp.111-123, 2001. https://doi.org/10.1080/10437797.2001.10779040
  1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현장실습 표준지침서, 2010.
  12. 이형하, "시간제 등록 학생의 사회복지현장 실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9권, 제9호, pp.226-234,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226
  13. T. O'Hara, and P. Colli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social work practice skill,"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7, No.2, pp.228-238, 1997. https://doi.org/10.1177/104973159700700206
  14. A. E. Fortune, A. Cavazos, and M. Lee, "Achievement motivation and outcome in social work field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1, No.1, pp.115-129, 2005. https://doi.org/10.5175/JSWE.2005.200300318
  15. A. E. Fortune, M. Lee, and A. Cavazos, "Does practice make perfect? Practicing professional  skills and outcomes in social work fieldeducation" Th Clinical Supervisor, Vol.26, No.1/2, pp.239-263, 2007.e https://doi.org/10.1300/J001v26n01_15
  16. T. G. Michele, and G. Chris, "Improving outcomes for students, social work education, and agencies in public child welfare," Journal of Baccalaureate Social Work, Vol.8, No.1, pp.17-32, 2002.
  17.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8. 민경홍,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대전,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9. 김정훈, "실습지도내용이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0. 김예경, "사회복지 전문 직업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1. 순덕기,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2. 조수민, "실습경험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3. T. Cascio and J. Gasker, "Everyone has a shining side: Computer- mediated mentoring in social work education,"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37, No.2, pp.283-293, 2001. https://doi.org/10.1080/10437797.2001.10779054
  24. 전진호, "사회복지 전공학생들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5. 김융일, 양옥경, 사회복지 수퍼비전론, 양서원, 2002.
  26. Kadushin, 조휘일 역, 사회복지실천과 수퍼비전, 학지사, 2000.
  27. 정명숙, "사회복지 전공학생의 실습기관 수퍼비전 내용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8. 김선화, "사회복지실습 수퍼비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9. 김선희, 조휘일, 사회복지실습, 양서원, 2000.
  30. 서진환, 사회복지실습의 길잡이, 학지사, 2001.
  31. 정수영,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