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iderations on the Making of Scientific Content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Knowledge

생명과학 지식의 가공과 콘텐츠화 과정에 대한 연구

  • 안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 김산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 장이권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Received : 2011.12.30
  • Accepted : 2011.10.13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Appreciation of nature and an understanding of the biological sciences by the general public are key to the popularization of modern science. In particular, informal and accessible venues such as museum exhibits occupy a crucial role in science education, and they depend heavily on fields related to macrobiology, including Ecology, Anim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Science. Unfortunately, lack of engaged experts and superficial descriptions of natural phenomena all too often prevent scientific knowledge from being shared effectively with the general public. Raw information itself and knowledge are not in a form or structure accessible to nonspecialists. In order to move successfully deliver substantive comprehension of the biological knowledge to the general public,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information from a content-conscious perspective and transform it into useful biological content. Therefore, the role of scientists is critically important 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include theme selection, editing, and even graphical layout of contents. These processes require not only a scientific and logical way of thinking, but also an aptitude for artistic presentation and effective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Translation is presented as a theoretical and operational framework for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일반인들의 자연에 대한 감상과 생명과학의 이해는 오늘날 과학의 대중화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의 관심이 높은 전시와 같은 비형식 과학교육은 생태학, 동물행동학, 환경학 등 거시생물학적 분야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렇지만 전문가의 참여 부재, 자연 현상의 피상적인 기술 등의 이유로 대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지 않다. 정보와 지식은 그 자체로는 수용자가 곧바로 이해하고 받아 들일 만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지지 못하다. 생명과학 지식을 일반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콘텐츠화 하는 가공 과정이 필요하다. 주제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내용의 편집 및 표현 단계까지의 일련의 과정으로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과학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된다. 콘텐츠화 과정은 과학적, 논리적 사고방식과 더불어 예술적 표현 및 소통 능력을 필요로 한다. 과학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및 실천적 틀로서 통역의 개념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호, 남상준, 이영,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체험 학습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제12권, 제1호, pp.294-310, 1999.
  2. 임상희, 남상준,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체험과 환경적 감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97-507, 2004.
  3. 김향미, "환경교육에 기초한 미술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제 16권, pp.95-108, 2004.
  4. 유세일, 박양우,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영상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14집, pp.231-253, 2009.
  5. 마정혜, 이정교, "감성체험과학관을 위한 인터렉티브 컨텐츠 시스템에 관한 연구: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8권, 제1호, pp.199-209, 2007.
  6. 김민수, 윤세균, "전시콘텐츠 적용 환경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의미 고찰", 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7-26, 2004.
  7. 김성훈, 임승일, "매체(On, Off-line)환경에서 효과적인 컨텐츠 개발을 위한 방안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제7권, 제1호, pp.65-73, 2004.
  8. 브루스 르원스타인, 김동광 옮김, 과학과 대중이 만날 때, 궁리출판사, 2003.
  9. A. Rosenberg,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10. M. McLuhan, Understanding media, Routledge, 2002.
  11. 어일선, "박물관 전시에서의 디지털 매체 적용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12-21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212
  12.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180-189,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13. A. Botelho and A. M. Morais, "Students - Exhibits Interaction at a Science Center," Morais i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43, No.10, pp.987-1018, 2006. https://doi.org/10.1002/tea.20135
  14. Y. Bamberger and T. Tal, "Multiple Outcomes of Class Visitsto Natural History Museums : The Students'View,"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Vol.17, No.3, pp.274-284, 2008. https://doi.org/10.1007/s10956-008-9097-3
  15. J. Holbrooka and M. Rannikmaea,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29, No.11, pp.1347-1362, 2008.
  16. 함석진, 맹승호, 김찬종,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제31권, 제1호, pp.51-62, 2010. https://doi.org/10.5467/JKESS.2010.31.1.051
  17. J. Wellington, "Newspaper science, school science:"friends or enem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13, No.4, pp.363-372, 1991. https://doi.org/10.1080/0950069910130401
  18. A. Lucas, "Scientific literacy and informal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Vol.10, pp.1-36, 1983. https://doi.org/10.1080/03057268308559903
  19. 김소희, 송진웅,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3권, 제5 호, pp.544-560, 2003.
  20. 한국박물관협회, 2009 한국박물관.미술관 연감, 사단법인 한국박물관협회, 2009.
  21. Z. Fang,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Continuum, p.384, 2005.
  22. 고병완, 송희석, Young Ryu, 이상호, 김동일, "불법복제에 대한 규제가 콘텐츠 제작자의 수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20-32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320
  23. 이용재, 김희영, "다문화사회의 관광정보 웹 콘텐츠 개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413-42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413
  24. http://en.wikipedia.org/wiki/Content_(media).
  25. 엘리안 스트로스베르, 김승윤 옮김, 예술과 과학, 을유문화사, 2001.
  26. N. Hoffmann, Goethe's science of living form: The artistic stages, Adonis Press, 2007.
  27. R. Steiner, A modern art of education, Rudolf Steiner Press, 1954.
  28. http://www.nhm.ac.uk/research-curation/departments/index.html
  29. http://www.si.edu/ResearchCenters
  30. http://www.nhm.ac.uk/visit-us/darwin-centrevisitors/ cocoon-highlights-sldies/index.html
  31.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관 탐구체험형 전시품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2009.
  32. 류준호, 윤승금,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327-33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327

Cited by

  1. Design Korean Medicine Health Information Model with Health 2.0 Framework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