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Process and Conflict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A Case of Namyangju City's Landfill Site Construction for Incineration Remnants-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 갈등관리 -남양주시 소각잔재매립장 입지선정 및 건설갈등 사례-

  • 강문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Received : 2011.09.15
  • Accepted : 2011.09.27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 by explaining a peculiar case of Namyangju city's construction project of landfill site for incineration remnants. Policy stage and internal dynamics of conflict between city and opposition group of local residents are used as major tools of case observation. From this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conflict management effort of local government is critical to bring a success of a public policy.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assess possible sources of conflict, and to prepare reasonable solutions through sincere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Also we need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Sometimes "slow" is better than "fast". Authoritative and hasty policy process may face unexpected obstacles, then consume more time to fulfill the policy goals. It means that the local government needs to spend more time for policy formulation. It also shows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process in reaching a public policy deci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so-called governance,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public policy.

본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난항을 거듭해왔던 한 사례를 통해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정에서 갈등관리능력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부각시켜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가 주목한 사례는 지난 1991년 입지선정에서 시작하여 무려 20년이란 긴 세월 동안 정책추진의 난항을 거듭해오다가 최근에 이르러서야 해결의 문턱을 넘어 비교적 안정적인 정책추진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쓰레기 소각잔재 매립장 건설사례다. 유사한 입지선정 및 건설과정의 갈등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내에 성공적인 정책추진을 경험했던 기타의 많은 지방정부 사례와 달리 남양주시 사례의 경우 장기간 동안 대립적 상황을 거듭해 왔던 점은 갈등관리의 차원에서 주목해 볼만한 특이사례다. 과연 남양주시는 왜 정책추진에 그토록 오랜 세월을 허비하며 난항을 거듭해 온 것일까? 본 연구는 일정한 분석모형에 입각하여 정책 성패요인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연역적 접근과는 달리, 정책단계별 사례의 개요와 쟁점 및 구조를 기술하는데 치중함으로써 정책단계별 갈등관리의 중요 요소를 귀납적으로 추론해 나가는 방식을 취했다. 분석 결과,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정에서 갈등관리는 정책수립 및 결정단계와 홍보단계 그리고 집행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민주적 절차와 토론 및 주민과의 협력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요하는 연속적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정책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철, 정연우, "지방행정홍보 매체의 현황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보, 제3권, 제2호, 2002.
  2. 김도희, "NIMBY와 PIMFY 시설입지정책의 갈등구조 비교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1호, pp.157-188, 2004.
  3. 김상구, "협상방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쓰레기소각장 입지갈등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제15권, 제1호, 2003.
  4. 김영종, "공공시설 입지갈등과 정책딜레마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0권, 제4 호, pp.19-40, 2006.
  5. 김영평, 불확실성과 정책의 정당성, 서울 :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5.
  6. 김영평, "정책갈등의 양상과 갈등관련자의 윤리적 대응", 정부학연구, 제8권, 제2호, pp.113-143, 2002.
  7. 김필두, "혐오시설 입지를 둘러싼 분쟁의 효율적해소방안: 군포시 쓰레기 소각장 사례를 중심으로", 협상연구, 제6권, 제1호, pp.93-104, 2000.
  8. 나태준, "공공성과 갈등관리: 혐오시설 유치를 중심으로", 윤수재, 이민호, 채종헌 편,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서울: 법문사, 3편 2장 6절, 2008.
  9. 변성수, 배정환, "행정학 분야에서 갈등 연구경향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365-37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365
  10. 이경훈, "혐오시설의 입지선정과 지역갈등의 효율적 관리: 생곡쓰레기매립장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 pp.114-126, 2003.
  11. 이달곤, 협상론-협상의 과정, 구조 그리고 전략, 서울: 법문사, 2005.
  12. 장영두, "협상에 기초한 지방정부와 주민간의 대안적 환경분쟁해결방안", 한국행정논집, 제13권, 제3호, pp.693-718, 2001.
  13. 전주상, "비선호시설 입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노원, 목동, 강남쓰레기 소각장 건설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1권, 제2호, pp.275-295, 2000.
  14. 정주용, 길종백, "비선호시설 입지수용성 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탐색: 제천시 자원관리센터 부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6권, 제2호, pp.255-280, 2007.
  15. 조승현, "비선호시설 입지선정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익산시 폐기물처리시설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19권, 제3호, pp.295-316, 2005.
  16.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2003.
  17. 최병선, "부처간 정책조정의 개선: 경제정책분야를 중심으로", 김영평, 최병선, 행정개혁의 신화와 논리. 서울: 나남출판. 1994.
  18. 하혜영, "공공갈등 해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갈등관리 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1권, 제3호, pp.273-296, 2007.
  19. Gibson, L. James, Caldeira, A. Gregory, and Spence, K. Lester, Why Do People Accept Public Policies They Oppose?: Testing Legitimacy Theory with a Survey-Based Experiment,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Vol.58, No.2, pp.187-201, 2005. https://doi.org/10.1177/106591290505800201
  20. Flyvbjerg, Bent, Nils Bruzelius, and Werner Rothengatter, Megaprojects and Risk: An Anatomy of Amb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1. Lindblom and Charles, The Intelligence of Democracy: Decision through Mutual Adjustment. New York: The Free Press. 1965.
  22. Lindblom, E. Charles, and Woodhouse, J. Edward, The Policy-Making Process(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1993.
  23. McAvoy and E. Gregory, Controlling Technology: Citizen Rationality and the Nimby Syndrome, Georgetown Univ. Press, 1999.
  24. Mazmanian and Morell, "The "NYMBY" Syndrome: Facility Siting and the Failure of Democratic Discourse," Environmental Policy In The 1990s: Toward A New Agenda, 2nd ed., A Division of Congressional Quarterly Inc., Washington, D. C. 1994.
  25. C. R. Mitchell, Peacemaking and the Consultant's Role, New York: Nichols, 1981.
  26. Munton and Don, Introduction: The Nimby Phenomenon and Approaches to Facility Siting, in Munton, Don(eds.), Hazardous Waste Siting and Democratic Choice, Georgetown Univ. Press, 1996.
  27. Rabe and G. Barry, Beyond Nimby: Hazardous Waste Siting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The Brookings Institution, 1994.
  28. Thomas and W. Keneth,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in M.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976.
  29. Walton and Richard, Interpersonal Peacemak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