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Features

발굴유구의 보존방법과 적용

  • An, Jin Hwan (Sejong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0.06.23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When the term conservation is used with regard to excavated features, it means not only conservation but also restoration. Restoring the features here does not imply restoring their original form but restoring their form at the moment of excavation. That means,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features includes the concept of both reparation and restoration. The way of conserving excavated features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on-site conservation and transfer conservation. On-site conservation means to conserve excavated features as they were at the excavation site. It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soil-covered on-site conservation, in which excavated features are covered with soil to prevent them from being damaged, and exposed on-site conservation in which the features were conserved as they were exposed. Transfer conservation is operated on the premise that excavated features ar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It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original form transfer, transcribing transfer, reproduction transfer, and dismantlement transfer. Original form transfer refers to the method of moving the original forms of excavated features to another place. Transcribing transfer refers to moving some of the surfaces of excavated features to another place. Reproduction transfer refers to restoring the forms of excavated features in another place after copying the forms of excavated features at the excavation site. Dismantlement transfer refers to the method of restoring excavated features in a place other than the excavation site in the reverse order of dismantlement after dismantling the features at the excavation site. The most fundamental issue regarding conserving excavated features is the conservation of their original forms. However, the conservation of excavated features tends to be decided depending on a variety of conditions such as society, economy, culture, and local situations. In order to conserve excavated features more effectively,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conservation methods should be created. Furthermore, continuing research is needed to find the most effective way of conserving them through exchange with other neighboring academic fields and scientific technology.

발굴유구에서 보존은 보존에 복원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여기서 복원은 유구 원래의 원형으로 복원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발굴 당시의 모습 그대로 복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발굴유구 보존은 수리복원의 개념이 함께 포함된 것이다. 발굴유구는 보존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현장보존과 이전보존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장보존은 발굴유구를 현장에 그대로 보존하는 것으로 유구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복토하는 복토 현장보존법과 유구를 노출된 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노출 현장보존법이 있다. 유구가 발굴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 보존방법을 이전보존이라 하며, 세부방법으로 원형이전, 전사이전, 복제이전, 해체이전으로 나눌 수 있다. 원형이전은 유구의 원형을 그대로 다른 곳에 이전하는 방법이고, 전사이전은 유구 표면의 일정부분을 떼어내어 이전하는 것이다. 복제이전은 발굴된 유구의 형태를 본떠 이전할 곳에서 다시 복원하는 방법이며, 해체이전은 유구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를 해체 이전하여 해체의 역순으로 복원하는 방법이다. 발굴유구의 보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발굴유구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발굴유구를 둘러싼 여러 가지 환경 즉 사회 경제 문화 지역 상황에 따라 보존방법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 더 효과적인 발굴유구 보존을 위해 보존방법별로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방안을 도출하고, 인접학문과의 교류 및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접목시켜 발굴유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