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s of Children's Perception of Ego-resilience and Family Strength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Family Structure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ego-resilie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family structure. 303 cases of them were selected from 912 elementary students' data in Busan and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samples t-test,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children of parents family had positive perception on the ego-resilience, family strength,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children of nontraditional family. Second, in children with parents family, family strength is a more powerful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ego-resilience. Finally, in children with nontraditional family, ego-resilience is a more powerful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family strength. The results implicated that ego-resilience and family strength of children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family structure and therefore it needed for family structure-based media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 school life.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숙(2002).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교헌․권선중․심미영(2005). 초등학생의 시험 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0(1). 113-126.
  4. 김수영(2000). 사회기술훈련이 배척받는 아동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옥선․오윤자․최명구(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학회지, 19(3), 761-777.
  6. 김옥선․오윤자․최명구(2006).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아동교육학회지, 15(1), 195-207.
  7. 김유진․김영희(2009).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 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3-142.
  8. 김윤경(2008).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자(2001). 역할놀이중심 집단 상담이 학교생활만족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민주(2006).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백진아(2009). 한국의 가족 변화: 가부장성의 지속과 변동, 현상과 인식, 33(1), 204-224.
  12. 석주영․박인전(2009). 빈곤가정 아동의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양부모가족과 여성한부모가족 아동의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14(2), 29-50.
  13. 성미옥(2003).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어은주․유영주(1997).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15. 유성경․홍세희․최보윤(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 408.
  16.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연구, 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7. 이경화․정혜영(2007).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통제소재와 학교적응의 구조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8-18.
  18. 이성휘(2009). 빈곤가정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정화․전윤숙․김인경(2007). MMTIC에 의한 성격유형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19(2), 288-300.
  20. 이유미․김정희․김동원(2009).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훈련이 결손가정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0(4), 2303-2319.
  21. 이혜경(2008).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혜승(2004). 부모의 이혼과 양육형태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학교적응, 한국청소년학연구, 11 (1), 407-427.
  23. 임상희(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성화․오은정(2009). 학생들의 휴대폰 중독과 우울, 불안,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1(2), 259-268.
  25. 정명숙(2009). 가족구조가 아동의 인성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미현(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용주(2007). 일반가정아동과 이혼가정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생활적응에 관한 비교연구, 경성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조미숙(2003). 참만남 집단상담이 초등학교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조한숙(2010).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최상미(2003).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문화와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은미(2007). 한부모가족 아동의 학교적응 및 그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경은(2005). 아동의 학대경험과 자아탄력성이 외상후 스트레스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Bean, J. P., & Bradly, R. K.(1986). Understanding the satisfaction- performance relationship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7, 393-412. https://doi.org/10.2307/1980994
  34. Block, J. H.,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35. Bloom, B. L.(1985). A factor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 of family functioning, The Family Precess, 24, 225-239.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5.00225.x
  36. Curran, D.(1983). Traits of a healthy family. MI: Winston Press, Ins.
  37. Hilton, J. M., & Desrochers, S.(2002).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single-parent and married-parent familie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37(1), 13-36. https://doi.org/10.1300/J087v37n01_02
  38. Klohnen, E. C.(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th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067-1079.
  39. Okun, M., & Weir, R. M.(1990). Toward a judgement model of college satisfac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 56-76.
  40.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 (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Process, 1, 3-28.
  41. Otto, H. A.(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https://doi.org/10.2307/348232
  42. Otto, H. A.(1975) The use of family strength concept and methods in family life education : A handbook, Beverly Hills, CA: Holistic Press
  43. Rutter, M.(1987).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 316-331.
  44.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Y: Guild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