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s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Son, Jin-Kwan (Relationship of Dankook University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Nam-Cho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Kang, Bang-H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 투고 : 2010.11.15
  • 심사 : 2010.12.20
  • 발행 : 2010.12.31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tilize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conservation and estimation system for Palustrine wetland, which was badly managed and imprudently reclaimed, through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the estimation of conservation value for sample sites (eight wetlands) in rural area. As the result of wetland type classification, these wetlands was classified by 4 types (Permanent freshwater marshes/pools, ponds, Aquaculture ponds, and Seasonally flooded agricultural land) by Ramsar system, 3 types (Emergent Wetland, Aquatic Bed, and Scrub-Shrub Wetland) by NWI (Cowardin) System, 5 types (Farm Pond Depression, Under-flow wetland, Man-made Pond Depression, Abandoned Paddy Fields Wetland, and Reservoir Shore) by National Wetland's Categorical System, and 3 types (Aquatic Bed Wetland, Emergent Wetland, and Forested Wetland) by Lee (2000)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us developing the new type classification system for small Palustrine wetland in Korean rural areas. The score of function assessment (The Modified RAM) for small Palustrine wetlands was high at the wetlands nearby hills and rice paddy fields, and low at those nearby upper fields, which was mainly affected by land-use and vegetation. The functions as 'Flood/Storm Water Storage', 'Runoff Attenuation', 'Water Quality Protection' were resulted by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inflow and outlet. Some functions as 'Wetland size', 'Wetland to immediate watershed ratio', 'Presence of boat traffic', 'Maximum water depth', 'Fetch of water's body' of RAM were not appropriate in evaluation of small wetlands in rural area. Which suggest us developing the new function assessment system for small Palustirne wetland in Korean rural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방훈.손진관.이상화.김남춘.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학국환경복원녹화학회지 12(3):33-48.
  2. 강방훈.손진관.김미희.김남춘. 2010. 농촌마을 소택형습지 실태 분석을 통한 관리 및 활용방안 연구. 농촌계획 16(3):103-115.
  3. 구본학. 2002. 습지 유형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구본학. 2003. 묵논에 형성된 자운늪의 유형분류 및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1):65-70.
  5. 구본학. 2004. 반변천 습지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산업과학연구 16:1-10.
  6. 구본학. 2007. 국가습지 인벤토리 구축사업 최종 보고서.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관리사업단 최종보고서.
  7. 구본학. 2009. 습지생태학. 도서출판 조경.
  8. 구본학.김귀곤. 2001a. RAM(일반기능평가법)을 이용한 내륙습지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3):38-49.
  9. 구본학.김귀곤. 2001b.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내륙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11-25.
  10. 김귀곤. 2003. 자연과 인간이 만드는 습지:습지와 환경. 아카데미서적.
  11. 농촌진흥청. 2005. 농촌지역의 Ecosystem과 Amenity 보전을 위한 Biotop 관리 및 복원 기술개발.
  12. 농촌진흥청 농촌어메니티 자원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rural.rda.go.kr
  13. 박미란.구본학. 2008. 내륙습지 분류특성 기초연구:충청남도 내륙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90-95.
  14. 박미옥.구본학.김하나. 2009. 충청남도 내륙습지 특성 및 기능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92-100.
  15. 변무섭.오현경.김재병. 2006. 전주 오송제, 오공제, 신용제, 어두제 소류지의 관속식물상과 훼손실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4):24-35.
  16. 변우일. 2006.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환경.생태 공원 설계:생태적 수질정화비오톱 공원의 구조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5):1-9.
  17. 손진관.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생육환경 및 식생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손진관.강방훈.김남춘. 2010.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3):46-62.
  19. 양병호.조운식.구본학. 2005.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평가 연구:보령호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6):80-91.
  20. 이동진. 2009. RAM 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적 보전 및 복원 방안에 관한 연구:철원 김화 남대천 습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흥수.정세웅.최정규.신상일. 2008. 소규모 생태연못(원흥이 방죽)의 부양영화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4(6):741-749.
  22. 이효혜미. 2000. 한국의 습지 분류.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임유라.김귀곤. 2009.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휴 농경지의 습지복원 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군포시 반월천 유역을 사례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1):52-66.
  24. 조동길. 2004. 소택형습지의 복원 및 창출을 위한 생태적 식재 설계 모델: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주위홍. 2002. 두만강 하류와 DMZ 동부 습지유형 및 분포특성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환경부. 2001. 내륙습지의 유형별 평가기법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7. 환경부. 2010. 야생동.식물보호법.
  28.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5. 국가습지 유형분류 체계구축.
  29. Cowardin L. M., Virginia Carter, Francis C. Golet and Edwar 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30. Donald L. Tilton, Karen Shaw, Brian Ballard and William Thomas.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31.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06. Ramsar Convention Manual, 4th edition.